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 통해 10만 개 호퍼 GPU 시스템 구현

[아이티데일리] 엔비디아(NVIDIA, CEO 젠슨 황)는 엔비디아 이더넷(Ethernet)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 엑스AI(xAI)가 구축한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콜로서스(Colossus)’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위치한 엑스AI의 콜로서스 슈퍼컴퓨터 클러스터는 ‘엔비디아 스펙트럼-X(Spectrum-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을 사용해 10만 개의 엔비디아 호퍼(Hopper) GPU로 구성된 대규모 시스템을 구현했다. 스펙트럼-X 플랫폼은 표준 기반 이더넷을 사용해 멀티 테넌트, 하이퍼스케일 AI 팩토리에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됐으며, 원격 직접 메모리 액세스(RDMA)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스펙트럼-X 플랫폼의 핵심은 최대 800Gb/s의 포트 속도를 지원하는 스펙트럼 SN5600(Spectrum SN5600) 이더넷 스위치로, 스펙트럼-4(Spectrum-4) 스위치 ASIC을 기반으로 한다. 엑스AI는 뛰어난 성능을 위해 스펙트럼-X SN5600 스위치와 엔비디아 블루필드-3 슈퍼NIC(BlueField-3 SuperNIC)를 함께 사용하기로 선택했다.

AI용 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은 이전에는 인피니밴드(InfiniBand)에서 독점적이었던 낮은 지연 시간과 짧은 테일 레이턴시로 효과적이고 확장 가능한 대역폭을 제공하는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에는 엔비디아 다이렉트 데이터 배치(Direct Data Placement) 기술을 사용한 적응형 라우팅, 혼잡 제어, 향상된 AI 패브릭 가시성과 성능 격리가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기술은 멀티 테넌트 생성형 AI 클라우드와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필수적인 요구사항이다.

콜로서스는 대규모 AI 슈퍼컴퓨터로, 엑스AI의 그록(Grok) 거대언어모델(LLM) 제품군을 훈련하는 데 활용된다. 해당 모델은 엑스 프리미엄(X Premium) 구독자를 위한 챗봇 기능을 제공하는 데도 이용된다. 현재 엑스AI는 콜로서스의 규모를 두 배로 늘려 총 20만 개의 엔비디아 호퍼 GPU로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엔비디아와 엑스AI는 지원 시설과 최첨단 슈퍼컴퓨터를 단 122일 만에 구축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이 정도 규모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는 기간을 고려하면 매우 빠른 속도라는 설명이다. 또 첫 번째 랙이 바닥에 설치된 시점부터 모델 훈련이 시작되기까지는 단 19일이 걸렸다고 전해진다.

초대형 그록 모델을 훈련하는 동안 콜로서스 네트워크 패브릭의 세 계층 모두에서 시스템 플로우 충돌로 인한 애플리케이션 지연 시간 저하나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스펙트럼-X 혼잡 제어를 통해 95%의 데이터 처리량을 유지했다.

엔비디아의 길라드 샤이너(Gilad Shainer) 네트워킹 담당 수석 부사장은 “AI는 이제 필수적인 존재가 됐으며 향상된 성능, 보안, 확장성, 비용 효율성을 필요로 한다.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은 엑스AI와 같은 혁신가들에게 AI 워크로드의 빠른 처리, 분석, 실행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AI 솔루션의 개발과 배포, 출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엑스 계정을 통해 “콜로서스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훈련 시스템이다. 엑스AI 팀과 엔비디아, 그리고 많은 파트너, 공급업체들이 훌륭한 작업을 했다”고 말했다.

엑스AI 대변인은 “엑스AI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를 구축했다. 우리는 엔비디아의 호퍼 GPU와 스펙트럼-X를 통해 대규모 AI 모델 훈련의 한계를 뛰어넘었으며, 이더넷 표준을 기반으로 초고속화되고 최적화된 AI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