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웨이브시스템즈, ‘2024 인스웨이브 솔루션스데이’ 개최

‘2024 인스웨이브 솔루션스데이’ 현장
‘2024 인스웨이브 솔루션스데이’ 현장

[아이티데일리]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인스웨이브시스템즈(대표 어세룡, 이하 인스웨이브)는 지난달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2024 인스웨이브 솔루션스데이’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AI 전환의 물결을 선도하다’라는 주제로 AI와 최신 웹 기술을 융합한 인스웨이브의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어세룡 대표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어세룡 대표

본격적인 행사 시작에 앞서 연단에 오른 어세룡 대표는 AI 시대를 맞아 인스웨이브가 준비하는 사업 전략을 공유하고, 각 세션에서 발표할 주요 내용을 간략히 소개했다.

어세룡 대표는 “AI가 대중에게 놀라움을 안기는 시기는 지나갔다. 이제는 실질적 가치를 끌어낼 수 있는 제품, 기술이 나와야 할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 대표는 “인스웨이브는 UI 개발도구에 AI를 접목함으로써 현장에서 기술 효용성을 체감하는 방안을 고민했다. 이를 위해 △실용적 AI 기술 구현 △재사용 가능한 UI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UI 등 세 가지 개발 목표를 세우고 솔루션 기능 고도화에 힘을 쏟았다”고 강조했다.


AI,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로 만드는 UI 개발의 새 패러다임

인스웨이브의 방향성은 ‘웹스퀘어 AI(WebSquare AI)’를 통해 구현됐다. 이어진 첫 번째 세션에서 김낙천 팀장이 ‘AI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Micro Frontend)로 시작하는 UI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웹스퀘어 AI가 갖춘 특장점을 소개했다.

웹스퀘어 AI는 프로젝트 기간을 줄이고 UI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AI 증강 개발’ 기능을 탑재했다. 주요 기능으로 △UI 소스, 이미지 등을 입력만 하면 빠르게 페이지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AI 스케치’ △자연어 프롬프트로 UI 모듈을 제작하는 ‘AI 토크’ △코드 자동 완성 및 검증을 제공하는 ‘AI 코드’ △테스트 자동화 도구 ‘AI 테스트’ 등을 제공한다.

인스웨이브시스템즈 김낙천 팀장
인스웨이브시스템즈 김낙천 팀장

또 웹스퀘어 AI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UI에 구현한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역량을 갖췄다. 김낙천 팀장은 “UI 개발은 모든 업무가 소스 하나에 뒤섞인 ‘모놀리식(Monolithic)’ 수준을 지나 여러 모듈로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지트(Composite)’ 형태로 발전했다. 다만 복잡한 모듈 구조로 인해 하나가 수정되면 다른 요소까지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며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내부 모듈 간 응집도를 높여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개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위해 인스웨이브는 웹스퀘어AI에 ‘모듈 페더레이션Module Federation)’을 구현했다. 모듈 페더레이션은 각각 제작된 모듈을 다시 조립해 페이지 하나를 구성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로컬에 있지 않은 모듈도 페이지 구성에 활용할 수 있으며, UI 재사용으로 원가 절감과 동시에 보다 안정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인스웨이브시스템즈 박상준 팀장
인스웨이브시스템즈 박상준 팀장

모바일 앱 개발, ‘매트릭스 스튜디오’로 완성

두 번째 세션은 박상준 팀장이 ‘모바일 앱 개발의 모든 것, 매트릭스 스튜디오(Matrix Studio)로 완성하다’를 주제로 발표했다. 인스웨이브는 ‘웹스퀘어 하이브리드’로 웹 환경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해 왔다. 이를 더 고도화해 웹 개발자만으로도 네이티브(Native) 환경까지 구현 가능한 ‘매트릭스 모바일 2.0’을 출시했다.

매트릭스 모바일의 핵심은 ‘매트릭스 스튜디오’다. 매트릭스 스튜디오는 파편화된 개발 환경을 통합, 웹과 앱의 UI를 모두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디자인, 개발, 배포 등을 위한 각종 키트(Kit)를 탑재했으며, 네이티브 플러그인으로 필요 기능을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상준 팀장은 “매트릭스 모바일은 빠른 앱 개발을 위한 템플릿과 네이티브 플러그인을 갖췄다. 네이티브 플러그인은 현재 60여 개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시 서드파티(Third Party) 플러그인도 도입할 수 있다”며 “기업은 매트릭스 모바일로 네이티브 개발자 없이도 앱 개발이 가능해져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이진용 팀장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이진용 팀장

클릭 한 번으로 완성되는 혁신적 웹 테스팅

세 번째 세션에서는 이진용 팀장이 무대에 올라 ‘클릭 한 번으로 완성되는 혁신적인 웹 테스팅’을 주제로 ‘테스트스퀘어(TestSquare)’를 소개했다. 사용자가 다양한 기기에서 UI를 접하게 됨에 따라 기업들은 개발 후 더 많은 테스트를 진행해야 했다. 이에 따라 비용, 인력 소모가 증가하며 테스트 자동화 필요성이 커졌으나, 기존 솔루션은 제한된 검증 케이스로 인해 결함 발견 범위가 좁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테스트스퀘어는 AI를 활용한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으로 불필요한 과정은 줄이면서 더 정확한 결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돕는다. AI는 사용자가 테스트한 입력 정보, 이벤트 등을 학습해 적합한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또 웹스퀘어 AI에서 코파일럿으로 만든 테스트 케이스를 테스트스퀘어에 연계하는 기능을 탑재해 편리성을 더욱 높였다.

이 밖에도 테스트스퀘어는 PC, 모바일, 태블릿 등 여러 기기 환경에서의 테스트가 가능하며, 설치형과 웹 기반 솔루션 모두에서 시나리오 레코딩 도구를 제공한다. 테스트 관련 통계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기능도 지원한다.


‘사인스퀘어’로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계약 관리

이어진 세션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비대면 전자계약 서비스 ‘사인스퀘어(SignSquare)’가 공개됐다. 사인스퀘어는 종이 중심의 계약 업무를 전자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은 높이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솔루션이다. 현재 전자 서명은 전자서명법,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등을 통해 실물 서명 및 도장과 같은 법적 효력을 보장받고 있다.

사인스퀘어는 보안이 인증된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며, 계약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돼 안전히 저장된다. 고객 필요시 국내 공인 전자문서센터를 통한 보다 강화된 문서 관리도 지원한다. 자동 제목 생성, 내용 요약 등 빠른 업무 처리를 돕는 기능을 갖췄으며, MS오피스와 아래아한글 파일에 대한 편집 기능도 탑재했다.

이날 공개된 사인스퀘어는 이달 25일 정식 오픈을 앞두고 있다. 요금제는 프리, 베이식, 프로, 엔터프라이즈 등 네 가지로 구성돼 기업 규모 및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이날 행사에서는 △DX 단말 관리 솔루션 ‘엣지스퀘어(EdgeSquare)’ △MSA 및 클라우드 컨테니어 개발 플랫폼 ‘프로웍스5(ProWorks5)’ 등이 소개됐다.

어세룡 대표는 “앞으로도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이라며 “AI와 디지털 전환(DX)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다. 고객들과 함께 이 여정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