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전략 정책방향’ 발표…4대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아이티데일리] 대한민국 AI 전략을 총괄하는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첫발을 내디뎠다.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월 열린 반도체 현안 점검회의에서 ‘AI-반도체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치 계획’을 처음 밝힌 바 있다.

이에 윤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며, AI 전문가 민간위원 30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등으로 구성된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출범하게 됐다. 부위원장으로는 태재대학교 염재호 총장이 임명됐다. 기술·혁신분과위원장은 △연세대 조성배 컴퓨터과학과 교수, 산업·공공분과위원장은 △고진 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이 맡게 됐다.

또 인재·인프라분과위원장으로 △서울대 김선 컴퓨터공학부 교수, 법·제도분과위원장으로 △법무법인 도울 강민구 대표, 안전·신뢰분과위원장으로 △카이스트 오혜연 전산학부 교수가 임명됐다.

이날 출범식에서 윤 대통령은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범국가적 핵심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민관 협력의 구심점”이라며 “대한민국을 오는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인포그래픽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인포그래픽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와 관련, 정부는 ‘국가 AI전략 정책방향’을 공개하고 △국가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민간 부문 AI 투자 확대 △국가 AX(AI 전환) 전면화 △AI 안전·확보 등을 골자로 한 4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우선, 정부는 2030년까지 현재 보유한 최신 GPU 규모를 15배 이상 확충하고, 국산 AI반도체 조시 상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관 합작투자를 바탕으로 최대 2조 원 규모의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

주요국 대비 부족한 우리나라 민간투자를 해결하고자 관련 세제 지원을 검토하고, 대규모 펀드 조성 등 정책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오는 2027년까지 4년간 65조 원 규모로 민간 부문의 AI 투자를 독려할 계획이다.

산업, 공공, 사회, 지역, 국방에 이르는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도 추진한다. 먼저, 제조·금융·의료바이오 등 도입 효과가 높으나 AI 전환이 더딘 8대 산업별 AX 대책을 수립한다. 또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 등을 통한 활용 역량 강화로 안전·재난·보건 등 공공부문 18대 분야 국민체감 AI 서비스도 창출할 예정이다.

아울러 AI 안전·안보를 확보하고자 국가 전담기관으로 ‘AI안전연구소’를 오는 11월 설립한다. AI 발전과 안전·신뢰를 균형 있게 달성한 ‘AI기본법’은 연내 제정토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