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가 우주자산 보호 위한 대응체계 마련 기여
[아이티데일리] 카이스트(총장 이광형)는 국가정보원과 우주 분야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고 국가 위성 자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인공위성과 지상국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점검을 국내 최초로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지구 관측, 기상 관측, 위성통신, 위성항법 시스템 등 다양한 우주 산업영역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위성 시스템은 사회의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들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심각한 경제적 손실과 함께 국민 생활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국가 우주 인프라 보호를 위해 위성 사이버보안 관리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6월 관계 부처와 카이스트 등 우주 관련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위성 사이버보안 협의체를 출범해 인공위성의 ‘설계·운용·폐기’ 등 전 주기에 대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인공위성연구소는 국가정보원과 함께 임무 운영을 종료한 차세대소형위성과 운영 지상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이버공격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은 “우주 연구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카이스트와 사이버보안 최고기관인 국가정보원의 역량이 뭉쳐 시너지 창출이 될 것”이라며 “카이스트가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가 우주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 마련과 기술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pajh0615z@itdaily.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