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 팔콘9에 탑재
엔비디아 AI 칩 기반으로 우주에서 데이터 처리…실시간 고속병렬처리 실증 예정

[아이티데일리] 인공위성 토털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대표 조성익)는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위성 탑재 인공지능(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TetraPLEX)’를 발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통해 회사는 글로벌 우주 시장 진출의 발판인 스페이스 헤리티지(우주 환경에서의 검증 이력)를 확보하게 됐다.

미국 현지시각으로 지난 16일 텔레픽스의 테트라플렉스는 미국 우주업체 스페이스X(spaceX)의 팔콘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발사된 위성에 탑재된 테트라플렉스는 위성 빅데이터 AI 모델의 실시간 고속병렬처리를 실증할 예정이다.

텔레픽스 테트라플렉스 발사 장면 (출처: 텔레픽스)
텔레픽스 테트라플렉스 발사 장면 (출처: 텔레픽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는 올해 말 발사 예정인 미국 민간 위성업체인 플래닛랩스보다 한발 앞선 것이다. 텔레픽스는 이번 테트라플렉스의 성능 검증이 완료되면 우주공간에서의 실시간 상용 고품위 영상처리 솔루션을 개발한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테트라플렉스는 우주에서 수집한 정보를 위성에서 AI 처리 및 엣지 컴퓨팅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위성용 특화설계 고성능 온보드 프로세서(On-Board Processor)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한 고성능 젯슨(Jetson) AI 플랫폼이 활용돼 위성 데이터의 효율적인 실시간 AI 처리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위성에서 얻은 원본 데이터를 지구의 지상국으로 전송해야 하는데, 위성이 지상국 상공을 지나가야만 전송 가능하고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용량도 제한이 있었다. 이 때문에 위성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까지 보통은 몇 시간이 들고, 고화질 영상의 경우 수십 시간에 이르는 큰 시차가 발생했다.

테트라플렉스는 위성 자체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케 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손실을 낮추면서도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텔레픽스 위성 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
텔레픽스 위성 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

테트라플렉스는 고성능 하드웨어로 구성돼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고해상도 이미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신속한 상황 파악과 대응이 필요한 재난 대응, 농업, 기후 및 대기 관측 등 많은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기대다.

또한 이번 발사로 우주 환경에서 위성 영상 전처리 알고리즘의 동작 여부와 인공위성의 핵심 기능인 자세 제어를 위한 자세 결정 추정 알고리즘 수행 여부, 방사선이 누적되는 환경에서의 하드웨어 안정성 등도 검증될 예정이다.

텔레픽스는 이번 테트라플렉스 성능 검증을 기반으로 고객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나 알고리즘을 통합하고, 향후 실제 우주에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우주 궤도상 AI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공개할 계획이다.

텔레픽스 김성희 CTO(위성시스템부문장)는 “이번 테트라플렉스의 우주 실증을 통해 텔레픽스가 우주 헤리티지를 확보함으로써 본격적으로 글로벌 우주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다지게 됐다”며 “텔레픽스의 혁신적이고 고도화된 위성 데이터 분석 서비스 솔루션을 전 세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텔레픽스는 위성 탑재체부터 위성 데이터 처리 및 활용 솔루션까지 위성 산업 전 주기의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이다. CES 2024 혁신상 수상, 세계경제포럼(WEF) 기술선도기업(Technology Pioneer 2024) 선정 등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또 지난해 엔비디아가 전 세계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스타트업 엘리트 프로그램인 인셉션(NVIDIA Inception)의 회원사로 선정돼 해외 벤처 투자사 연결, 공동 마케팅 등 글로벌 비즈니스 및 기업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아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