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아이티데일리] 미국 각 주에서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잇따라 제출되고 있다. 같은 법안의 제정을 목표로 하는 버지니아주의 글렌 얀킨 지사는 주초, 주내의 학군에 대해 스마트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안을 독자적으로 책정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고 포브스지가 전했다.

이에 따라 버지니아주 교육부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로 했다. 주의 방침이 학교 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얀킨 지사는 스마트폰, 특히 이를 이용한 SNS가 교육과 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칠 영향이 우려된다며 규제할 것을 당부했다.

버지니아주의 스마트폰 제한 규칙은 내년 1월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얀센 지사는 말했다. 이 같은 법안은 플로리다주와 인디애나주, 미네소타주, 오하이오주 등에서는 이미 통과됐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지난달 아이들은 스마트폰 화면에 집중하는 것보다 학업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며 주내 학교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더 엄격한 제한을 둘 것을 당부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지난 2019년부터 주지사가 몇 가지 제한을 승인한 뒤 여러 학군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금지됐다.

최근 1년 사이 오클라호마와 워싱턴, 캔자스, 버몬트, 코네티컷, 버지니아, 메릴랜드, 애리조나,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에서도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제출됐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도 내년에 스마트폰 제한 법안을 제안할 뜻을 밝혔다.

비영리단체 커먼센스 미디어(Common Sense Media)의 조사에 따르면 10대 학생의 약 97%가 학교 내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전미교육통계센터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응답한 미국 학교 비율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77%에 달했다.

퓨연구소의 최근 조사에서도 미국 고교 교사의 약 72%와 중학교 교사의 약 33%가 스마트폰으로 인해 학생들의 수업 중 주의력이 산만해지는 것을 큰 문제라고 응답한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 여론도 만만치는 않다. 스마트폰 사용 제한은 긴급 상황에서 스마트폰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부모의 반발을 사고 있으며, 일부 학교 관계자는 규제 시행이 어렵다고 밝혔다.

미국의 공중보건 정책을 지휘하는 비벡 머시 공중보건서비스단 단장 겸 의무총감은 지난 6월 NYT 기고에서 "소셜미디어는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 라벨을 각 플랫폼에 부착하는 것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