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 개최…클라우드 기반 AI 에이전트 비전 공유
[아이티데일리] “인공지능(AI) 에이전트의 시대가 왔다. 지난해에는 생성형 AI 구축과 도입을 위한 기술검증(PoC) 프로젝트가 활발히 이뤄졌다면,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과 생산성 향상, 매출 증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자체 보유한 텐서처리장치(TPU)부터 AI 모델 제미나이(Gemini), 완전관리형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 그리고 AI 에이전트까지 풀스택 솔루션을 지원해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겠다.”
지난 26일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지기성 사장은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Google Cloud Summit Seoul 2024)’ 미디어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27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연례 컨퍼런스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를 개최,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와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DX)과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는 국내 주요 고객사 사례를 공유했다. 행사에는 삼성, HD현대, LG AI연구소, 엔씨소프트, 컬리, 카카오헬스케어, 코웨이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다수 참여했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는 클라우드에 연결된 AI 에이전트를 선보이며 생성형 AI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 혁신을 지원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구글 클라우드가 이번에 공개한 AI 에이전트는 챗봇 기술 수준을 넘어 멀티모달(multi-modal)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오디오, 텍스트 정보를 함께 처리하고 다양한 입력값을 서로 연결해 최적화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장기적인 학습도 가능해 각종 거래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도 주요 강점이다.
구글 클라우드 AI 에이전트 △웹, 모바일, 콜센터, 매장관리시스템(POS) 등 여러 채널에서 작동하는 ‘고객용 에이전트’ △반복적인 작업을 전담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해 내부 직원의 생산성을 높이는 ‘직원용 에이전트’ △마케팅 콘셉트, 음향 및 영상 제작 등을 돕는 ‘크리에이티브 에이전트’ 등을 지원한다.
AI 에이전트는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 제미나이 모델, 버텍스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구글 클라우드용 제미나이(Gemini for Google Cloud)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용 제미나이(Gemini for Google Workspace)에서 구글의 자체 에이전트를 활용한 구축이 가능하다.
버텍스 AI는 구글 클라우드가 서비스하는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으로, 고객이 생성형 AI 모델을 검색, 맞춤화, 증강,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다. 자사 모델인 제미나이와 젬마(Gemma)를 비롯해, 클로드 3.5 소넷(Claude 3.5 Sonnet)과 같은 파트너사 모델과 라마2(Llama 2), 미스트랄(Mistral) 등 오픈소스 모델까지 130 개 이상의 모델을 제공한다.
아울러 ‘모델 가든(Model Garden)’이라는 콘셉트 하에 고객이 직접 파인튜닝해 구축한 다양한 도메인별 특화 AI 모델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AI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지기성 사장은 “생성형 AI를 대대적으로 도입하려면 실리콘에서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엔드투엔드(end-to-end)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안전하고 개방적인 엔터프라이즈급 AI 플랫폼이 필수적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 중에서 AI 스택 전반에 걸쳐 자사 솔루션은 물론, 파트너사의 솔루션까지 확장해 제공하는 유일한 기업”이라며 “구글 클라우드와 파트너의 혁신을 바탕으로 인프라, 칩, 모델, 데이터 솔루션, AI 도구 전반에서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새로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