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도보 또는 마이크로모빌리티로 15분 이내에 필수 서비스와 편의 시설을 배치해 주민들의 생활을 완결한다는 '15분 스마트시티'가 최근 수 년 동안 핫 이슈로 부상했다. 파리에서 시작된 ‘15분 스마트시티’ 개념은 유럽 전역과 미국 등지로 확산됐다.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레이철 멀처 교수는 그러나 ‘15분 스마트시티’가 각광을 받고 있어도 여전히 핵심 개념이 증명되지 않았는데, 그것은 바로 ‘15분 스마트시티’의 경제성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블룸버그를 통해 지적했다. 멀처 교수가 블룸버그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요약 소개하고, 이를 해석한다.
‘15분 스마트시티’ 모델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와 장점을 지닌다. 주민들이 소매점, 공공 공간, 교육, 일터 등이 걸어서 15분 이내에 존재하면 교통 혼잡이 줄어들고 통근 시간이 최소화된다. 15분 스마트시티는 많은 유럽 도시에서 오랜 시간 테스트를 거쳐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도보 15분 이내에 스마트시티를 약속하는 비전에는 큰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이미 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의 경제적, 자원 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 경제 측면에서 기본 원칙에 어긋날 수도 있다.
슈퍼마켓이든 긴급 진료소든 모든 종류의 상업 또는 공공 시설에는 고정 비용이 들어간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수가 비용을 뒷받침해야 한다. 고정 비용이 클수록 이를 회수하기 위한 수입이 필요하다.
15분 거리에서는 소비자가 모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든다. 짧은 거리 내에 소비자들을 가둘 수는 있지만 커피숍 등 시설의 반경은 작아진다. 헬스케어 등 일부 서비스는 구축 비용이 더 높다. 진료소는 장비와 보험이 필요하다. 슈퍼마켓은 더 큰 재고 공간을 요구한다. 지속 가능한 고객 창고는 훨씬 더 커진다. 이는 미국의 대부분인 중간에서 낮은 밀도의 도시에서는 심각한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고용 시장은 덜 현지화되어 있다. 도시의 존재 이유는 노동력을 모으고 공유하는 수단으로서이다. 이는 동네 규모의 ‘15분 스마트시티’에서는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사람들이 직장에서 15분 이내에 거주한다는 기대치를 설정하면 직원과 직업 사이에 불균형이 일어날 수도 있다. 모든 주민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의 서비스, 일자리 및 편의 시설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오히려 실패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멀처 교수가 조지워싱턴대학교 리아 브룩스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미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뉴욕시와 로스엔젤레스에서 ‘15분 스마트시티’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았지만, ‘15분 스마트시티’ 모델이 요구하는 인근 편의 시설를 골고루 유치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도시는 오랫동안 상업 구역, 소위 번화가를 조성해 왔다. 상업용도 지역은 일반적으로 다른 용도보다 높은 세율이 부과되므로 세수 창출에도 중요하다. 이는 또한 용도 혼합을 촉진한다는 도시 계획의 핵심 원칙이기도 하다. 도시의 토지 사용 규정은 개발자에게 상업용도든 거주용이든 무엇을 건설해야 하는지 판단하도록 한다. 종래의 도시들은 그런 개념을 적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국내 시장이나 글로벌 시장을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대도시는 전 세계적으로 그리 많지 않다. 도보로 15분 거리에 많은 소매 공간이 있어도 그것이 비어 있거나 활동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폐쇄된 상점은 오히려 해당 커뮤니티를 덜 안전하고 회복력이 없게 만든다. 스마트시티의 꿈을 위협한다.
특히 ‘15분 스마트시티’ 구상의 기본적인 배경 중 하나는 기후 변화에 대응해 탄소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지구온난화를 막는 것이다. 이 대의는 포기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개념은 성공적으로 정착할 필요가 있다. 성공을 위해서는 대도시를 ‘15분 스마트시티’ 블록으로 나누더라도 블록 사이의 연결이 필요하다. 대중교통이 있어야 하는 이유이고 각 블록이 공동으로 이용할 복합 공간이 존재해야 하는 당위이기도 하다. 조화와 균형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