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전문가 참석해 AI가 가져올 사회 변화 논의

NIA 황종성 원장이 지난 24일 NIA 서울사무소에서 ‘AI 기반 사회현안 해결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NIA 황종성 원장이 지난 24일 NIA 서울사무소에서 ‘AI 기반 사회현안 해결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아이티데일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 황종성)은 지난 24일 NIA서울사무소에서 ‘AI 기반 사회현안 해결 세미나’(이하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NIA는 인공지능(AI) 전문기관으로서 국가·사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현안을 발굴하고 AI 기반 해결 방안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의견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이번 세미나를 기획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IT서비스학회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사회현안 이해관계자 및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번 세미나는 △‘AI 시대, 우리 일자리는 안전한가?’ △‘공공서비스에 생성형 AI 도입 가능한가?’를 주제로 2개의 세션과 △‘AI 시대, 한국의 위기와 기회 그리고 NIA 역할’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와의 종합토론으로 구성됐다. 모든 토론의 좌장은 NIA 민원기 경영전략자문회의장이 맡았다.

우선, ‘AI 시대, 우리 일자리는 안전한가?’를 다룬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대 AI연구원 장병탁 원장이 ‘AI 시대, 사라질 일자리와 새로운 일자리’를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에는 한국은행 오삼일 팀장, 한국고용정보원 박가열 부연구위원, NIA 이용진 본부장 등이 참여했다.

해당 AI 기술 발전 가속화에 따른 일자리의 소멸과 생성 등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해 산·학·연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한 대응 방안이 다뤄졌다.

‘공공서비스에 생성형 AI 도입 가능한가?’를 다룬 두 번째 세션에서는 카이스트 장동인 교수가 ‘공공서비스에 생성형 AI 도입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순천향대 최재원 교수, 세일즈포스 이범수 본부장, 바이브컴퍼니 장환석 수석, NIA 정병주 본부장 등이 참석한 해당 세션에서는 국민이 체감 가능한 범정부적 ‘공공 생성형 AI 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도입 전략에 대한 추진 방향을 모색했다.

마지막으로 ‘AI 시대, 한국의 위기와 기회 그리고 NIA 역할’에서는 글로벌 AI 패권경쟁 시대에서 한국형 AI 전략과 그 과정에서 NIA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카이스트 김진형 교수, 고려대 김현철 교수,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이지혜 부사장을 비롯한 NIA 관계자들이 종합토론에 참여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새롭게 변화하는 사회 문제를 이제는 AI 기반으로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사전에 문제를 대비해야 한다”며 “NIA는 AI를 활용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하는 데 기관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