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핵심 추진과제 발표…공공부문 초기수요 창출 계획

NIA 황종성 원장이 24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올해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NIA 황종성 원장이 24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올해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아이티데일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대한민국을 인공지능(AI) 활용 강국으로 이끌기 위한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국가 AI 전문기관을 목표로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해 정책 실행 역량을 강화한 NIA는 AI의 혜택을 기업과 국민이 모두 체감할 수 있도록 1,700억 원을 들여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해 국내 시장의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24일 NIA는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AI 활용 선도 계획을 발표하며 이 같은 올해 사업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인 AI를 NIA 차원에서 선도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NIA는 AI 전문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이어왔다. 지난 1월에는 △정책·법제도 지원 △서비스 활용·확산 △기술지원 인프라 구축 등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대규모 조직개편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분야별 전담 조직(인공지능정책본부, 인공지능융합본부, 지능기술인프라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 역량을 AI 중심으로 재편했다.

NIA는 이 같은 조직 변화를 바탕으로 올해 전체 예산 6,869억 원 중 25%에 해당하는 1,704억 원을 들여 본격적인 AI 활용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책 지원 강화 △도입·활용 방법론 개발 △AI 윤리 확산 △일상화 종합지원 △테스트베드 제공 △생성형 AI 데이터 기반 강화 △공공부문 AI 초기수요 창출 △포용사회 실현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총 9가지의 핵심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이중 NIA가 가장 역점을 둔 사업은 ‘공공부문 AI 초기수요 창출’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이제 AI 시장에서 핵심은 모델 성능이 아니라 활용 사례 발굴이다. 많은 기업이 AI에서 경제적 가치를 찾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국은 인터넷 등 IT 신기술이 나올 때마다 적극 도입해 보편화하는 데 성공한 경험이 있다. AI에서도 이러한 장점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황 원장은 “확실한 결과가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초기수요를 만들어 내는 일은 위험 부담이 따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NIA는 다양한 선도사업으로 IT 산업의 기틀을 다져 온 만큼 공공부문의 AI 수요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NIA는 지난 23일 디지텀플랫폼정부위원회와 함께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위해 6가지 유형별 사례를 담은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