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토론회 후속 반도체 현안 점검회의 개최
인공지능 G3 도약 및 AI 반도체 시장 석권 총력
[아이티데일리]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현안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는 최근 TSMC 일부 가동 중단에 따른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동향을 점검하고 지난 제3차 민생토론회에서 발표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추진 현황과 AI 반도체 이니셔티브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경쟁이 산업전쟁이자 국가 총력전이라고 강조, 전시 상황에 맞먹는 수준의 총력 대응 체계를 갖추기 위해 정부는 반도체 산업 유치를 위한 투자 인센티브부터 전면 재점검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주요국의 투자 환경과 지원제도를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과감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무엇보다 AI 반도체 시장 석권을 위한 ‘AI-반도체 이니셔티브’의 전략 방향을 직접 제시하고 인공지능 기술에서 G3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윤 대통령은 “AI와 AI 반도체 분야에 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AI 반도체 혁신기업들의 성장을 돕는 대규모 펀드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되기 시작하는 2030년에는 세계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10% 이상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AI-반도체 이니셔티브를 실현하고 AI 기술에서 G3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면서 향후 ‘국가AI위원회’를 신설해 AI 국가전략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최근 반도체 시장이 ‘AI 반도체’로 무게 중심이 급속히 옮겨가고 있다”며 반도체 산업의 미래가 AI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또 ”우리가 지난 30년 간 메모리 반도체로 세계를 제패했듯이 앞으로 30년은 AI 반도체로 새로운 반도체 신화를 써 나갈 것“이라며 ”우리나라처럼 하드웨어 제조와 소프트웨어 개발 및 활용 역량을 모두 갖춘 나라가 많지 않다“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 관계자를 비롯 민간에서 삼성전자 이정배 사장,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 네이버 최수연 대표, 사피온코리아 류수정 대표 등이 자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