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만 피해... 하도급 등 구조적 문제 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형 IT서비스 업체들은 중소기업의 프로젝트에서 업무의 유연성을 중시해야 하는 시스템 구축을 계약서 중심으로 끌고 있으며, 요구와 의견도 수렴이 되지 않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규모 대비 많은 IT투자를 함에도 불구, 프로젝트가 중단 되는 등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지난해 중소제조기업 A사는 한 대형 IT서비스 업체에 제조관련 프로젝트를 맡겼다가 낭패를 봤다. 동종기업 B사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이들이 입은 피해는 프로젝트 추진비용 21억 원. 이외 제반 비용을 모두 합치면 30억 원이 넘는다는 것이 이 업체들의 주장이다.
피해사례는 이렇다. 피해를 입은 제조사들은 레퍼런스가 좋은 IT서비스업체에 RFP를 보냈고 해당 IT서비스 업체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러나 계약서에 명시된 그대로만 움직이고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변수에 대응하지 못했다.
문제의 핵심은 하도급 구조에 있었다. 해당 IT서비스 업체는 중소기업 제조사의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곧바로 하청을 줬다. 하청을 받은 업체는 또 다른 업체에 하청을 주면서 의견의 전달에 장애가 생겼고 하도급이 늘어난 만큼 프로젝트 참가자의 기술적 수준이 떨어지며 프로그래밍 작업 등에서 많은 오류를 발생시켰다.
결국 모든 프로젝트를 진두지휘 해야 할 대형 IT서비스 업체가 프로젝트의 수익을 챙기고 컨설턴트 역할만 한 것. 이러한 하도급 연결고리가 계속 내려가면서 법률적으로 업무에 대한 책임은 마지막 단계에 있는 영세 업체가 도맡아 버리게 됐다.
피해 업체 관계자는 "돌발 상황에서 수정해야 할 부분을 요구해도 해당 서비스 업체는 계약 내용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말만 되풀이 하며 순조롭게 진행을 못해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면서 "돌발변수가 언제든 도출 될 수 있는 IT분야에서 공무원처럼 유연성 없이 원리원칙만 지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해당 IT서비스 업체 관계자는 "자세한 사안은 알 수 없지만 하도급과 관련된 문제는 종종 발생되는 편이다"고 밝혔다.
차정석 기자
cjs@itdaily.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