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간 연계 체계 구축 및 원스톱 지원 인프라 조성 계획

[아이티데일리]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마이데이터 제도 시행을 위한 2024년 준비 예산 152억 원을 확보하고, 마이데이터의 기술적·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마이데이터 제도는 정보주체가 본인에 관한 개인정보를 원하는 곳으로 전송해 본인 의사에 따라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제도다. 개별법에 근거해 금융, 공공 분야에서 선행적으로 시행한 데 이어, 지난해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이 도입(2025년 시행)됨에 따라 전 분야로 확대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개인정보위는 국민의 전송요구권 행사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추진할 주요 과제로 △선도 서비스 발굴 △전송 인프라 구축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 구축 등을 계획했다.

먼저 개인정보위는 기업들이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선도 서비스를 발굴·검증하고 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예산 25억 원을 지원한다. 공모 및 심사를 통해 선정된 기업에는 일정 비율을 매칭해 정부 예산이 지원될 예정이다. 선도 서비스를 통해 국민은 기존의 번거로운 절차 등 불편을 해소하는 마이데이터 효용성을 직접 경험하고, 기업은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해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개인정보위 측 기대다.

또한 전송 인프라 구축도 추진된다. 정보제공자(개인정보 보유 기업·기관), 중계기관, 정보수신자(마이데이터 사업자 등) 간의 세부 전송 기술 규격 및 절차 등을 실증하기 위해 개인정보위는 예산 약 15억 원을 참여 사업자에게 지원한다. 실증사업을 통해 검증된 전송 기술 규격에 따라 개인정보위는 올 하반기에는 다양한 정보제공자, 중계기관, 정보수신자별로 실제 전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도 구축될 예정이다.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은 본인의 전송요구 현황 및 전송 이력을 관리하고, 전송요구 중단 및 전송정보 파기 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송요구권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위는 올해 예산 75억 원을 확보했으며 내달 중 조달청 입찰공고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개인정보위는 우선적으로 2025년 통신·유통·의료 등의 분야부터 마이데이터 제도를 본격 적용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송대상, 전송방법 및 절차, 안전성 확보 조치 등 정보제공자 및 수신자가 준수해야 할 제도적·기술적 사항을 담은 개인정보보호법 하위법령을 올해 내 순차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개인정보위 이상민 범정부 마이데이터추진단장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5년 마이데이터 제도 시행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 한편,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가 우리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