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심리 지수 회복에 힘입어 스마트폰 시장 수요 감소세 다소 둔화
[아이티데일리] 올해 3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한 약 349만 대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전 분기까지는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시장이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올 3분기는 주요 스마트폰 브랜드의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및 소비 심리 지수 회복에 힘입어 시장 감소세 정도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IDC(대표 한은선)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3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IDC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출하량은 약 349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다. 특히 올 3분기 전반적인 소비자 심리 지수 회복세에 힘입어 전체 스마트폰 시장 수요의 감소세가 다소 둔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주요 브랜드에서는 플래그십 신제품을 출시하며 높아진 프리미엄 제품군의 수요 충족 및 수익성 개선 노력을 했으며, 동시에 중저가 모델 출시로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고 한국IDC는 설명했다.
올 3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5G 점유율이 92.3%로 크게 증가한 점도 주목된다. 이는 삼성전자, 모토로라, 낫싱 등 안드로이드 주요 브랜드의 5G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격대별로는 800달러(한화 약 105만 4,960원) 이상의 플래그십 제품군의 점유율이 16.4%p 증가한 73.7%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한국 IDC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5 시리즈’ 출시 및 신규 프리미엄 제품군의 가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와 더불어 지속되는 소비자 수요 양극화로 초프리미엄 제품군의 높은 수요 역시 점유율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국내 폴더블 시장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약 151만 대가 출하됐다. 전체 스마트폰 시장 내 점유율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43.3%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국IDC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5 시리즈가 더 커진 커버 디스플레이와 개선된 힌지를 앞세워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높은 소비자 수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또한 외산 브랜드 중에서는 처음으로 모토로라가 폴더블 제품인 ‘레이저 40 울트라’를 출시하며 기존 삼성전자가 주도하던 국내 폴더블 시장에 진출했다. 한국IDC는 향후 폴더블 시장에서는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며 판매 및 시장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IDC에서 모바일폰 시장 리서치를 담당하고 있는 강지해 연구원은 “소비자 수요 양극화가 지속되며 견조한 프리미엄 시장 수요 및 수익성 개선을 위해 주요 브랜드는 프리미엄 시장을 중점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반면 불확실한 경제 상황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스마트폰 가격 상승과 한정적인 중저가 제품군은 가계 경제의 부담과 더불어 소비자 선택권 축소로 이어져 시장 수요가 감소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하반기 주요 브랜드는 중저가 모델을 출시하며 소비자 구매 부담을 완화해 판매를 촉진하고 시장 수요 견인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