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내 교육 SaaS 트랙 신설
디지털교과서, 학생지원, 학급관리 SaaS 개발 및 운영 지원

[아이티데일리] 최근 정부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기조 아래 공공부문의 핵심 인프라로 클라우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의 유연성·가용성·확장성을 확보하는 한편, 공공이 국내 민간 기업들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산업 활성화에도 나선다는 목표다.

클라우드 확산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기존에 진행해 온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에 더해 올해 ‘교육 SaaS 트랙’을 새롭게 신설했다. 올해 초부터 사업이 진행 중인 교육 부문은 초·중·고 학습을 지원하는 클라우드와 디지털 기반 SaaS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와 연계해 추진되고 있다.

공공 행정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서도 클라우드를 활용한 디지털 인재 양성과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 SaaS를 활용해 학생과 교사 모두의 교육권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공교육 디지털 혁신의 추진력을 끌어올리고 있는 NIA의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내 교육 SaaS 트랙의 세부 내용과 현황을 살펴본다.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①] ‘추진력’ 얻는 공교육 디지털 혁신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②] 2025년 본격 도입 앞둔 ‘AI 디지털교과서’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③] SaaS 기반 스마트한 자율 학습 지원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④] 교사 업무 부담 줄이는 학급관리 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중심 교육용 SaaS 도입 추진

올 2월부터 수주를 시작한 교육 SaaS 트랙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으로 클라우드 산업 발전과 교육 혁신의 선순환 체계 마련이라는 배경하에 시작됐다. 특히 과기정통부의 K-클라우드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서 ‘AI SaaS’의 교육 트랙, 즉 AI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용 SaaS 도입 확대를 주목표로 했다.

과기정통부뿐만 아니라 교육부에서도 2025년부터 ‘AI 기반 디지털교과서’를 초·중·고에 도입할 계획을 내세우면서, 이를 구현할 민간 SaaS의 필요성이 부상했다. 이 같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의 동일한 기조에 따라, 올해 두 부처는 디지털 교육 혁신의 성공을 위한 협력 강화와 K-클라우드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양 부처는 교육용 서비스 개발 및 인프라 구축, 국산 AI 반도체 및 국내 클라우드 활용 촉진 지원, 에듀테크 개발 및 활성화, 디지털 인재양성 등에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맞춰,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의 교육 SaaS 트랙을 전담하는 NIA는 교육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민간 기업 SaaS 개발과 검증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새롭게 첫 발걸음을 뗀 이번 사업의 핵심은 초·중·고 학생 대상 다양하고 혁신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용 SaaS 개발·전환·검증에 대한 지원이다. 더불어 사업의 큰 중점은 클라우드 네이티브화(化) 개발과 실제 서비스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검증 및 고도화다.

따라서 NIA는 이번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및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업체(MSP) 등이 함께 이들 기업들을 컨설팅함으로써 각 사의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NIA는 교육용 SaaS 기업들이 실제 공공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절히 각 사의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수 있도록, 실증과 평가, 검증 그리고 논의의 장(場)을 마련해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부적인 NIA의 지원 내용은 교육용 SaaS 개발 비용 지원 및 교육용 SaaS 사업화 비용 지원이다. 먼저 SaaS 개발 비용 관련, NIA는 참여 기업들이 국산 AI 반도체 도입 계획을 보유한 국내 CSP의 인프라 활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및 관련 업계 전문가 컨설팅과 기술지원 비용 등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업화 지원에 대해서는 개발된 SaaS의 시장 판매를 위한 다양한 판로 확대 및 수요처 발굴 등 비즈니스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 학생지원, 학급관리 SaaS 개발·검증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돼 발주가 이뤄졌다. ‘디지털교과서(유형 1)’, ‘학생지원(유형 2)’, ‘학급관리 지원(유형 3)’ 등 3가지 유형이다. 유형 1과 유형 2는 기본 2년의 지원 기간(연차별 협약)을 지원하며, 유형 3의 지원 기간은 1년이다.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 유형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용 SaaS 개발·검증 사업 유형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형별로 구체적인 사항을 살펴보면, 유형 1 디지털교과서 개발·검증은 맞춤형·쌍방향 학습이 가능한 AI 기반 디지털교과서(SaaS) 개발을 목표로 했다. 가령 수업 콘텐츠, 학생 진단 및 평가를 위한 과제 도구 등의 SaaS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디지털교과서는 과기정통부와 교육부에서도 적극적으로 확대 적용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가속력이 붙고 있는 사업이다.

올해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에는 △티맥스알지와 도서출판 길벗 컨소시엄이 정보 과목의 AI 기반 디지털 교과서 개발 △디엔소프트가 영어 과목의 초등영어 ‘AI 코스웨어’ △유니닥스와 지학사가 수학 과목의 ‘AI 라이브코칭 클라우드 서비스’ △라이브데이터와 동아출판이 수학 과목의 ‘에듀싱크(Edusync)’ △스마트앤와이즈와 원교재사가 정보 과목의 ‘AI 공유 생태계 기반 자기주도 정보 디지털교과서’ △웅진씽크빅이 미래엔과 수학 과목의 AI 기반 학습 진단이 가능한 수학 AI 디지털교과서 등 6개 기업이 선정돼 개발·실증을 진행 중이다. 디지털교과서 개발은 현재까지는 연도별, 학년별, 교과별로 세분됐으며, 정부는 2025년 시범 도입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민간 SaaS가 도입되는 과목 및 학년의 폭을 더 넓힐 계획이다.

AI 디지털교과서가 사업의 중심이긴 하지만, 이것만으로 교육의 디지털 혁신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NIA에서는 유형 2 학생지원 SaaS와 유형 3 학급관리 지원 SaaS 사업을 마련했다.

유형 2 학생지원 SaaS는 계획적 생활, 자기주도 학습, 진로 상담 등의 학생지원 서비스다. 예컨대, 학생의 생활·학습계획 관리 및 온라인 노트 등의 학습지원 도구를 서비스하는 SaaS다. 해당 유형에는 △NHN에듀의 ‘개인 맞춤형 모티베이션 학습 플랫폼’ △쓰리알이노베이션의 학생 맞춤형 학습 진단 피드백 추천 서비스 ‘포커스팡 ai 2.0’ △퓨전소프트의 맞춤 교육을 위한 클래스(Class) 기반의 ‘LMS SaaS’ △대교씨엔에스의 인공감성지능(AEI) 기반 ‘스마트 학습케어 서비스’ △글로브포인트의 SaaS 기반 ‘메타 클래스룸(Meta-Classroom)’ 학습 지원 플랫폼 △코드넛의 교육 콘텐츠 ‘스튜디오 티클(Studio TEECLE)’ △비주얼캠프의 AI 기반 시선 추적 교육용 SaaS ‘시소 랩스 포 스쿨(SeeSo Labs for School)’ △테크빌교육의 SaaS형 LRS 기반 학습분석 연동 서비스 △심테크시스템의 마인드맵과 온라인노트 기반 학습지원 서비스 등 9개 기업이 참여해 개발·검증을 이어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형 3 학급관리 지원은 학생 생활기록부, 학부모 상담 등 교사의 학급 관리를 돕는 SaaS 개발로, 생활기록부 작성 및 전반적인 학생 안전 관리 등을 서비스하는 클라우드 기반 SaaS가 이에 해당된다. 유형 3 수주 기업은 △데이터드리븐의 AI 기반 수행평가 서비스 △데이터사이언스랩의 학부모 상담관리 서비스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의 스마트 학습환경 통합관리 △제일기술주식회사의 학교 급식 안전관리 서비스 등 4개사다.

NIA는 올해 시작된 교육 SaaS 트랙을 내년도에도 이어서 추진하며, 학생·교사의 SaaS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다양하고 혁신적인 교육 지원에 일조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공공부문에서의 민간 기술 활용·도입을 통해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에도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