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소아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 극복 추진

NIA CI

[아이티데일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주최하고 NIA가 주관하는 ‘2023 한국어 AI 경진대회’ 개회식을 1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개회식은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경진대회 유투브 채널과 대회 전용 메타버스인 ‘네이버스’를 통해 생방송 됐다.

올해로 3회차를 맞이한 이번 경진대회는 전년 대비 34% 증가한 총 302팀(456명)이 참가했으며, 예선에서는 이 중 사전 역량평가로 4대 1의 경쟁률을 통과한 총 75개 팀(트랙별 25개 팀)이 선발된다.

예선 선발팀은 10월 10일부터 23일까지 2주간 대회를 진행한다. 30개 팀(트랙별 10개 팀)이 본선에 진출, 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6일간 본선 대회를 거쳐 최종 수상자가 선정된다.

특히 올해 대회는 ‘소리로 더 가까이-노인 및 소아 계층 특화 음성인식’을 부제로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 극복과 발음·억양이 다양한 노인·소아 음성인식 기술 향상에 집중할 전망이다.

개회식은 △NIA 황종성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주제 강연 △트랙별 기조 발표 △대회 참가 안내(플랫폼 사용법 및 베이스라인 코드) △Q&A 시간으로 구성됐다.

주제 강연에서는 카이스트 AI대학원 주재걸 교수가 ‘대규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기술 동향’을 발표했으며, 트랙별 기조 발표에는 파워보이스 정희석 대표,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 오순영 센터장,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송호철 대표 등이 참여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의 기본적인 소통방식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기술의 어려움으로 인해 투자와 개발이 중단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AI 개발부터 서비스 기획, 음성인식 모델 성능 향상 등에 모든 참가팀이 역량을 펼쳐 AI 산업 발전에 큰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