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로봇·디지털트윈 등 AI 기반 기술과 플랫폼 통합한 서비스 계획 소개
[아이티데일리]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NEMO(NEXT MOBILITY) 2023’ 테크 컨퍼런스를 개최, 플랫폼 기업들의 AI 기반 기술과 서비스 비전을 소개하며 미래 모빌리티 영역의 패러다임 변화를 공유했다고 8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카카오 T’ 출시 이후, 이동 서비스의 디지털전환(DX) 및 모빌리티 산업 혁신에 힘써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사의 자율주행·빅데이터 등 AI 기반 기술 고도화에 이어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시대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NEMO 2023을 개최, ‘우리의 세상을 이해하는 AI’라는 기술 목표를 공유하며 경로배정(Routing)·운송관리시스템(TMS) 등의 모빌리티 엔진부터 자율주행·로봇·디지털 트윈에 이르기까지 자사가 보유한 모빌리티 AI 기술들을 플랫폼과 결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는 △내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 △신규 엔진을 활용해 현재 운영 중인 AI 기반의 각 서비스들을 더 높은 수준으로 고도화 △글로벌 모빌리티 및 물류·배송 AI 플러그인 구현 등의 계획을 공유했다.
또한 국내·외 여객, 물류, 서비스의 이동까지 아우르는 모빌리티 AI 기술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플랫폼에 접목된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기술로 국내 모빌리티 산업의 세계화를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NEMO 2023에는 카카오모빌리티 유승일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필두로 주요 개발자 및 서비스 리더들이 참여해 글로벌, 여객 및 물류, 로보틱스 등의 영역에서 AI 기술로 달라질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 서비스와 생태계의 미래를 소개했다.
이와 함께 구글의 AI·데이터 제품 담당 올리버 레츠버그(Oliver Ratzesberger) 부사장,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이사 등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참석해 AI 기술 혁신을 통한 일상 패러다임의 변화를 전망했다. 그랩(Grab), LG전자, 스튜디오 갈릴레이, 한국교통연구원 등도 참여해 민·관·학의 다양한 관점에서 AI 기술과 데이터에 담긴 가치를 재조명하고 모빌리티 기술 융합 및 산업의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한편 NEMO 2023 행사장에는 이동 빅데이터,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AI 기술 간의 연계성을 시각화 한 ‘AI 랩(AI LAB)’ 테마관을 마련해 △지상과 상공에서 디지털트윈을 생성하는 ‘아르고스(ARGOS) 시리즈’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체인 ‘UAM 기체 목업’ △카카오모빌리티 고정밀지도(HD map) 구축 기술 통해 협력 중인 ‘LG전자 통합자율주행 로봇’ 등이 전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