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기반 추천과 생성형 AI 활용, 개인 맞춤형 서비스 지속 고도화
[아이티데일리] SK텔레콤(사장 유영상, 이하 SKT)은 ‘티딜(T deal)’의 올 상반기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81.5% 성장한 1,069억 원을 기록했다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티딜 거래액은 2020년 서비스 론칭 이후 2021년 894억 원, 2022년 1,374억 원을 기록하는 등 연평균 50~60%대의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티딜은 올해 출시 4년 차를 맞아 주력 판매 상품도 다변화시키고 있다. SKT는 그간 티딜의 주요 판매 분야였던 일반식품과 건강식품 등에서 점차 디지털 가전과 패션의류, 패션잡화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SKT에 따르면 올해 6~7월 여름철 매출 분석 결과, 디지털 가전이 처음으로 식품을 제치고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1위를 차지했으며 여행·티켓 판매가 대폭 늘어나는 등 다양한 상품 영역에서 소비자 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가전의 매출 비중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지난해 2위(22.5%)에서 올해 1위(27%)로 올라섰다. 여행티켓과 패션잡화도 전년 대비 각각 9위(3.2%)→5위(5.7%), 8위(3.3%)→7위(4.8%)로 상승했다.
SKT는 티딜 매출의 다변화에 대해 공급되는 상품과 브랜드가 다양해지는 것과 더불어, 빅데이터 및 AI 큐레이션에 기반한 맞춤형 상품 추천 등이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티딜은 고객에게 전달하는 상품 판매 문자를 AI가 추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라이프스타일과 관심사를 기반으로 고객을 분류하고, 생성형 AI에게 최적의 상품 카테고리를 추천하게 했다. SKT는 이 같은 AI 추천 방식을 실험한 결과, 기존 대비 문자 클릭률(CTR)이 최대 16%까지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티딜은 마케팅 담당자가 작성하는 맞춤형 마케팅 문구를 생성형 AI 모델로 대체하는 등 활용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아울러 티딜은 리뷰와 고객센터 고객의 소리(VOC)도 생성형 AI로 분석해, 잠재적 고객 문의 및 불만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며 고객 대응과 상품 품질 관리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또한 티딜은 SKT가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을 위한 최적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신상욱 광고사업담당은 “티딜은 SKT만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고객에게 꼭 필요한 상품을 찾아내고 온라인 최저가로 모든 상품을 무료 배송하고 있다”며 “앞으로 SKT만의 기술력을 활용해 고객에게 더욱 큰 혜택과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