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유럽에서는 많은 나라와 도시의 문화에 자전거가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 인프라 정비가 진행됨에 따라 관광객과 주민이 안전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현지 주민에게는 건강 증진과 교통 체증 해소, 생활 품질 향상이라는 효과를 낳고 있다. 특히 탄소 제로의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유럽의회가 이달 유럽에서의 자전거 이용을 더욱 간편하고 쾌적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BBC, CNN 등 언론들이 보도했다. 결의안은 유럽위원회와 유럽연합 회원국에 대해 자전거 주행거리를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리는 사이클링 촉진 전략을 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이동 방법으로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유럽자전거연맹(ECF)의 질 워런 최고경영자(CEO)는 “결의안은 우리의 오랜 자전거 지원과 정책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자전거 문화 정착의 이정표가 된다”고 환영했다. 그는 "유럽 전역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결의한 유럽의회에 박수를 보낸다“고 덧붙였다. 브뤼셀에 소재한 ECF는 40개국 이상에 60개 이상의 회원 조직을 거느리고 있다.
워런은 유럽 자전거산업협회(CIE), 유럽 자전거산업연맹(CONEBI) 및 유럽 자전거제조업협회(EBMA)를 포함한 여러 관련 기관들이 이번 유럽의회의 결의안 채택을 ‘역사적인 사건’이라고 선언했다고 밝혔다.
스트라스부르에서 거의 만장일치로 채택된 이 결의안은 유럽연합 회원국과 함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2030년까지 유럽에서 자전거를 타는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자전거 지원 전략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다. 또 이를 위한 다양한 권장 사항을 포함한 17개 항목의 행동 계획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대중교통에 자전거 타기를 포함하는 것부터 제조, 관광, 소매, 건강 및 스포츠 분야의 일자리 증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됐다.
ECF에 따르면 유럽에 널리 보급된 ‘자전거 생태계’는 기후 및 청정 제조 부문을 포함해 이미 유럽에서 100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결의안이 채택한 기타 권장 사항은 ▲안전하게 분리된 자전거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자전거를 도시 프레임워크에 통합 ▲도로 안전 교육 및 훈련 개선 ▲유럽에서의 자전거 생산(메이드 인 유럽) 및 부품 생산 지원 ▲자전거의 접근성과 경제성을 높일 것 ▲유럽 자전거 루트 네트워크 유로벨로(EuroVelo)와 17개 루트의 개발 가속화 ▲사이클 친화적인 작업장 장려 ▲안전한 자전거 주차 공간과 전기 자전거 충전 지원 등이다.
ECF는 결의안이 "유럽연합 회원국에 구축되고 있는 자전거 인프라와 자전거 문화에 대한 보다 전략적인 접근 방식을 포용하는 이니셔티브”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