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중국 빅테크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소유한 단편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은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로 이미 미국 연방정부 및 일부 주정부 소유 정보기기, 일부 대학 캠퍼스에서 금지돼 있다. 여기에 더해 연방 의회에서 공화당뿐 아니라 일부 민주당 의원들까지 가세해 전국적인 틱톡 금지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포브스를 비롯한 다수의 언론들이 보도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틱톡 금지를 요구하는 측은 중국 정부가 틱톡 앱을 이용해 미국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가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이다. 지난해 12월에는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사용해 포브스 기자를 포함한 미국인의 거처를 추적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비판이 더욱 거세졌다.

틱톡은 보도를 공식 부인했지만, 틱톡은 사내 조사에서 일부 직원이 틱톡을 취재하는 언론인을 실제로 추적한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지휘한 팀의 책임자를 해고했다.

대 중국 강경파로 알려진 공화당 조시 홀리 상원의원은 지난달 25일 미국 내 모든 정보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홀리 의원은 지난해 정부 소유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해 12월 통과시킨 바 있다.

공화당은 오래전부터 틱톡 금지를 요구해 왔는데, 최근에는 콜로라도주 마이클 베넷 상원의원을 포함한 여러 민주당 의원들이 여기에 가세했다. 베넷 의원은 이달 초 서한에서 애플과 구글에 대해 틱톡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하라고 요구했다.

크리스토퍼 레이 FBI 국장은 지난 11월 하원 국토안보위원회 공청회에서 틱톡은 국가안보상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2월 정부 기관이 소유한 기기에서 틱톡 사용 금지를 승인했다. 그 이전부터 공화당 주지사가 이끄는 여러 주에서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었다.

또 12월 이후 많은 대학이 학교 소유 기기나 학교 무선랜을 통한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학생 개인 정보기기에서도 틱톡 사용을 자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 최초로 틱톡 금지법을 공동 제안한 일리노이주 라자 크리슈나무디 하원의원은 중국 정부가 미국 시민들의 데이터를 이용할 가능성과 틱톡의 투명성 부족을 우려했다. 뉴저지주와 위스콘신주 등 민주당 지사가 이끄는 일부 주에서도 정부 기기에서 틱톡 이용을 금지했다.

이와 별도로 캘리포니아 로 칸나 주의원처럼 전면 금지보다는 틱톡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하는 법안을 지지하는 민주당 의원도 있다. 틱톡 매각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강력하게 밀어붙이던 정책이다.

바이트댄스가 미국에서 활발한 로비를 펼치는 정황도 포착된다. 바이트댄스 법무책임자인 에리히 앤더슨은 지금까지의 접근 방식을 바꿔 싱크탱크 및 의원들과의 만남을 늘리고 있다. 동시에 새로운 관련 직원 채용도 실시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지난해 로비에 540만 달러 가까이 썼는데, 올해는 이를 크게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NYT가 보도했다.

틱톡의 인기는 최근 몇 년 사이 폭발해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2021년 9월 기준, 10억 명에 달했다. 2022년 퓨리서치센터 조사에서는 미국 내 13~17세 청소년의 3분의 2가 틱톡 앱을 사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