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미 연방의회가 정부 소유 정비기기에서의 틱톡(TikTok) 사용을 금지하는 초당적 법안을 통과시켰다. 페이스북 등 타 소셜미디어의 개인정보보호 등 위반 조치에 대한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의회 의원들은 올해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에 대한 규제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CNBC가 보도했다.
중국 빅테크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보유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은 매달 10억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접속하고 있다. 의회 의원들과 FBI(미 연방수사국)의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은 연일 틱톡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에서 주 소유 정보기기에서의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 사용자 개인 정보가 중국 정부로 넘어가고 있다는 의심에서다. 중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법적으로 중국 정부가 요청하면 사용자 정보를 넘겨줘야 하기 때문에, 틱톡의 소유 구조는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취약하게 만든다.
틱톡은 미국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노출되지 않는다고 반복적으로 미국 측 주장을 반박하고 있지만, 틱톡의 앵무새 같이 반복되는 부인은 미국 정부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마이크 갤러거 공화당 하원의원은 일요일 NBC의 ‘미트 더 프레스(Meet the Press)’와의 인터뷰에서 틱톡을 "디지털 펜타닐(진통제)"에 비유하며 “틱톡 앱에 대한 금지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단언했다.
그는 "틱톡은 중독성이 강하고 파괴적"이라고 강조하고 "우리는 지속적인 소셜 미디어 사용의 부정적인 영향, 특히 미국의 젊은 남성과 여성의 개인정보 데이터 유출에 대한 우려스러운 상황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페이스북 내부고발자 파랜시스 하우겐은 1일(현지시간) NBC의 ‘언론과의 만남’에서 “틱톡,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유사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규제 당국은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더 많은 투명성 확보를 첫 번째 조치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우겐은 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소셜 미디어 규제에 있어서 미국이 얼마나 뒤처져 있는지 모르고 있다”면서 "현재의 상황을 보면 우리는 1960년대로 돌아간 것 같다.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는 법이 없다"고 비판했다.
의회는 지난해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결제 옵션을 제공하도록 하는 애플과 구글을 겨냥한 앱스토어 독점금지법, 어린이 보호를 의무화하는 법안 등 여러 법안들을 통과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는 분위기가 반전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정보보호 표준에 대한 타협안의 진전은 물론 지속적으로 논의가 되어 온 소비자 데이터 보호 또는 소비자 데이터 권리 등에 대한 합의도 기대된다.
에이미 클로버샤 민주당 상원의원은 계류되고 논의중인 법안들 중 상당수 법안이 초당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며, 상원에서도 다수가 찬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빅테크들의 로비가 강력하다는 점은 문제라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