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미국 상원이 현지시간 14일 연방 정부가 소유한 모든 정보기기에서 중국 빅테크 바이트댄스의 자회사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의 이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CNN을 비롯한 다수의 외신들이 보도했다.
틱톡을 통해 중국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있다는 우려와 경계의 목소리는 각 주 의회의 의원들로부터 나왔다. 미주리주 조시 홀리 의원은 ‘No TikTok on Government Devices Act’라 불리는 법안을 지난해 제출했었다. 상원을 통과한 이 법안은 다음 주 하원에서 표결될 예정이다. 통과되면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시행된다.
마르코 루비오 플로리다주 상원의원은 통과된 초당적 법안에 틱톡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쿠바, 베네수엘라의 지원 또는 영향 아래 개발된 다른 모든 SNS 플랫폼의 금지도 제안했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15일 각 주의 주지사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정부가 사용하는 모든 정보기기에서 틱톡은 물론 위챗과 텔레그램도 금지할 것을 제안하고, 그 이유로 민감한 기밀 정보에 접근하고 침투하려는 시도를 저지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는 주정부 기관의 공무원이 틱톡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정부 소유 정보기기에서 앱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킴 레이놀즈 아이오와 주지사는 "중국이 소유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보안 문제로 인해 모든 정부 정보기기에서 틱톡을 금지한다“는 지침을 발표했다.
게이 아이비 앨라배마 주지사도 주 정보기술부 마티 레든 장관에게 ”보안상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틱톡을 사용하면 중국의 침투 공작을 막을 수 없는 취약성을 낳을 가능성이 있다”며 내주 월요일부터 공무원들의 틱톡 접속을 금지할 것을 명령했다.
그밖에 유타, 오클라호마, 텍사스, 사우스다코타, 메릴랜드 주도 모두 틱톡에의 접근을 금지시켰다. 틱톡 거부 움직임이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셈이다.
틱톡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견제로 큰 어려움을 겪고 회사 매각의 위기까지 몰렸으나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위기에서 벗어나 세력을 불렸다. 미국에서 최대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으며 매출의 급상승과 함께 현재는 페이스북까지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위스콘신주 공화당 의원들은 토니 에버스 주지사에게 보낸 서한에서 “틱톡이 미국 시민을 감시하는 중국공산당(CCP)의 극악 스파이웨어”라고 단언했다. 서한은 바이트댄스가 미국 시민의 위치 데이터를 감시하고 있다고 보도한 포브스 기사 및 틱톡을 통해 사용자의 키 스트로크가 추적될 수 있다고 보도한 뉴욕타임스 기사에 따른 것이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16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상원이 통과시킨 틱톡 금지 법안을 하원이 지지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혔으나 이것이 매우 중요한 법안임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통과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크리스 레이 FBI 국장은 지난달 틱톡이 미국 정보기기를 기술적으로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중국 정부가 틱톡을 사용해 수백만 명의 사용자의 데이터 수집을 통제하거나 추천 알고리즘을 제어해 영향력을 행사할 우려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토드 로키타 인디애나주 법무장관은 지난주 틱톡과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두 건의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중국 정부가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플랫폼이 국가 소비자 보호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는 한편, 앱스토어에서 12세 이상 연령 등급으로 사용자를 속였다고 비난했다.
한편 틱톡은 “틱톡 금지법은 미국 국가 안보 이익 증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행정부와 합의를 통해 해결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