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명 이내 민·관 전문가로 구성, ‘5대 중점과제’ 추진 예정

[아이티데일리] 다음달 1일 정부 행정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대통령 직속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출범 준비를 끝마친 것이다. 7월 1일부터 출범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의 각 장관, 개인정보보호위원장 등과 민간 전문가를 포함해 30명 규모로 구성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는 고진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내달 1일부터 대통령 소속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공약으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를 의미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는 고진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장이 유력하다. 위원회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의 각 장관, 개인정보보호위원장 등과 민간 전문가를 포함해 30명 규모로 구성된다. 민간의 참여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를 위원으로 위촉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성공적으로 끌어가기 위해 5가지 중점 과제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제시한 5대 중점 추진과제는 △국민과 기업이 단기간에 개선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 △누구나 쉽게,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도록 기관 간 정보 공유 확대 등을 통한 선제적 서비스 제공 △AI·데이터 기반의 정책 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 정부의 일하는 방식 혁신, 국가 현안‧난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업 활성화 △데이터‧핵심 기능을 플랫폼으로 제공하고, 민간이 창의적인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 조성 △활용과 보안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체계 구축,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 기반을 강화하여 대국민 신뢰 제고 등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이 5가지 중점 추진과제를 통해 국민에게 맞춤형으로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해 국민으로 하여금 정부 혜택을 몰라서 놓치는 일이 없도록, 알아서 챙겨주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청 과정에서 한 곳에 한 번만 관련 서류를 제출하는 등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아울러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해 기업은 정부가 개방한 고품질 데이터와 디지털플랫폼정부 인프라로 제공되는 핵심 기능을 활용해 혁신적인 사업을 창출하고, 공공시장의 성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함으로써 그간 관행과 경험 중심의 의사결정에서 벗어나 AI·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 투명하고 개방적인 업무처리 방식 도입으로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로 한 걸음 나간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정부 운영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며, 향후 10년, 20년을 감당할 새로운 정부 시스템을 만드는 과업”이라며, “과기정통부는 혁신 기술과 산업을 담당하는 부처로서 행안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 인프라와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혁신하는 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은 “행정안전부는 그간 축적해온 디지털 정부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함께 데이터에 기반한 행정을 통해 정부 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대국민 공공서비스를 개인맞춤형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