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 보고서’ 발표
[아이티데일리]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비즈니스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식음료’, ‘헬스케어’ 등 세 가지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일 중국 알리바바그룹 산하의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닷컴은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한국 경제에 가져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중소 수출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기회를 가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식음료 △헬스케어 등 3가지 분야다.
보고서는 먼저 ‘뷰티 및 퍼스널 케어 분야’에 대해 국내 뷰티 산업이 월평균 비즈니스 기회 수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셀러보다 많아 높은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리바바닷컴의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산업 중 ‘코리안 스킨 케어(Korean skin care)’, ‘코리안 코스메틱(Korean cosmetics)’, ‘코리안 마스크(Korean mask)’ 등의 한국 뷰티 품목 키워드가 상위권에 매겨질 정도로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뷰티 및 퍼스널 케어 품목의 하루평균 활성 구매자 수는 1,700명을 넘으며 상위 구매 국가는 미국, 파키스탄, 영국, 인도 순이다.
다음으로 ‘식음료’ 분야에 대해서는 현재 코로나 상황으로 오프라인 거래가 어려워진 상황을 언급했다. 실제로 알리바바닷컴 식음료 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성장률은 회계연도 2021년 1분기 20%에서 회계연도 2022년 1분기 40%로 2배 증가했다. 그 중 음료, 과자, 해산물, 인스턴트 식품 등의 카테고리는 알리바바닷컴 내 전 세계 구매자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음료 산업에서는 인스턴트 식품, 돼지고기, 껌 등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유통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턴트 면은 올해 2월 검색량이 전월 대비 60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식음료 산업의 상위 구매 국가들은 미국, 파키스탄, 인도, 터키, 영국 등이며, 이 중에서도 미국 구매자가 전체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헬스케어 및 의료’ 분야도 주목할 만하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과 기능성 식품 및 약품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했다. 알리바바닷컴의 초고속 성장 키워드 중 하나인 건강식품은 지난해 대비 올해 1분기에 517% 증가했으며, 구매자 사이에서 인기 카테고리로 꼽힌다.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활성 구매자 수는 하루평균 1,300명을 넘는다. 상위 구매 국가는 미국, 인도, 영국, 파키스탄, 러시아다. 이밖에 알리바바닷컴은 하루평균 700명 이상의 의료 소모품 활성 바이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상위 구매 국가로는 미국, 필리핀, 멕시코, 인도, 캐나다 등이 있다.
한편 보고서에는 코로나 팬데믹 속 국내 수출입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 진출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타났다. 코로나 유행 기간에도 한국의 수출입 실적은 지난 1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와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로는 한국의 총 수출입 금액은 1조 2,600억 달러로 이 중 수출은 6,444억 달러, 수입은 6,150억 달러에 달했다.
알리바바닷컴 한국 사업 총괄 본부장 펠릭스 양(Felix Yang)은 전망보고서에서 “올해 1월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이하 RCEP)이 발효되면서 B2B 전자상거래를 통한 세계 무역이 수출 지향적인 중소기업에게 코로나 기간 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고 믿는다”면서 “코로나로 인한 어려움에도 국제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한국 중소기업에 알리바바닷컴은 훌륭한 출발점이다. 앞으로도 디지털 솔루션 및 지원을 통해 한국 셀러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더 효과적으로 한국 제품을 선호하는 글로벌 바이어와 매칭시키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