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학습 시간 단축…AI 학습 프레임워크 ‘링보’ 최적화 공동 연구도
[아이티데일리] 구글 클라우드는 LG AI 연구원이 구글 클라우드의 맞춤형 머신러닝 하드웨어(ASIC)인 ‘클라우드 TPU(Tensor Processing Unit)’를 도입해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고도화했다고 22일 밝혔다.
‘엑사원’은 약 3,000억 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한 AI로,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를 학습시킨 초거대 AI다. 구글클라우드의 ‘클라우드 TPU’는 구글 클라우드 AI와 맞춤형 고속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최첨단 머신러닝 모델의 빠른 반복 학습과 실행을 지원한다. LG AI 연구원은 ‘엑사원’에 클라우드 TPU 및 GPU를 도입해 AI 모델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했다. 또한 효율적인 모델 학습 프로세스도 구축했다.
현재 구글 클라우드는 LG AI 연구원과 ‘엑사원’의 AI 학습 프레임워크 ‘링보(Lingvo)’ 최적화와 맞춤화를 목표로 공동 연구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자연어처리(NLP) AI 모델 학습 부문 리서치 역량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LG AI 연구원의 SW 및 HW 운영 부담을 최소화했다. 향후 파트너십을 확대해 ‘엑사원’의 사전 학습 모델도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제조, 연구, 교육, 금융 등 전 산업 분야에서 ‘엑사원’ AI 모델 도입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LG AI 연구원 이화영 상무는 “분산 컴퓨팅 성능 덕분에 ‘엑사원’의 AI 모델 고도화를 한층 더 빠르게 실현할 할 수 있었다”며, “‘엑사원’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초거대 AI 생태계를 구축해 더 나은 삶을 위한 AI를 만들려는 LG AI 연구원의 사명을 이어나가기 위해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글 클라우드 사친 굽타(Sachin Gupta) 인프라 총괄 부사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초거대 AI 모델 학습에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업계 선도적인 인프라와 AI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국 기업 및 연구 기관이 미래 혁신 기술을 발굴하고 전 세계로 확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자율성장AI, Multimodal, Neuromorphic, NLP, 언어모델(GPT-3, BERT)
주최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 일시 : 2022년 3월 18일 , 장소 : 전경련회관 / 온라인 생중계
www.kecft.or.kr/shop/item20.php?it_id=1644297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