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게임, 금융 등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구현 증가 요인”
[아이티데일리] 케이아이엔엑스(대표 김지욱)는 클라우드 연결 플랫폼 ‘클라우드허브’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신규 고객이 2년 새 118%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KINX의 ‘클라우드허브’는 2017년 출시된 클라우드 연결 플랫폼이다. 글로벌 및 국내 클라우드에 대한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와 연결된 서비스다. 하나의 회선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IBM, 오라클, 텐센트,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등 7개사의 클라우드와 연결 가능하다.
KINX 측은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클라우드 구성 목적과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KINX의 ‘클라우드허브’를 이용하는 기업고객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클라우드를 온프레미스와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고객이 가장 많이 늘었다. 푸드테크 기업인 A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성해 빅데이터와 클라우드를 연동함으로써 인프라 비용을 50% 수준으로 절감했다. A사는 빅데이터 보관은 온프레미스를, 분석에는 클라우드를 이용해 비용 효율성을 높였다.
KINX 측은 게임 업계의 경우 멀티 클라우드 구성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온라인 게임을 운영 중인 B게임사는 안정적 글로벌 서비스와 장애 대응을 위해 복수의 글로벌 클라우드를 사용 중이다. 이 외에도 각 게임 개발 스튜디오의 특성이나 개발 환경 등에 따라 멀티 클라우드를 선택하기도 한다.
이처럼 고객이 늘어나며 KINX의 ‘클라우드허브’ 비즈니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신규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연결 수가 최근 1년간 73% 증가했다. 서비스 특성상 고객 대부분이 대기업 및 중견기업, 유니콘 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증가 추세라는 설명이다.
KINX는 ‘클라우드허브’ 성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우선 맞춤형 클라우드 인프라 제안에 초점을 맞춘다. 게임, 유통, 금융,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각 기업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에 착안해 네트워크 매니지드 서비스에도 집중한다. IP 설계, 라우팅, BGP 설정 등을 포함한 네트워크 구성 전반에 대해 전문 엔지니어의 작업 및 기술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지욱 KINX 대표는 “KINX가 클라우드 연결 시장의 선구자로서 축적해 온 클라우드 구성 역량 및 노하우는 국내 최고 수준”이라며, “단순한 회선 연결을 넘어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구성 전반을 컨설팅하는 네트워크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