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데비안 리눅스 기반 클라우드 단말기 임베디드용으로 설계
VDI/DaaS 클라이언트 기본 제공, 4월 29일 ‘데이비드 데이’ 통해 정식 출시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 가상화 기업 틸론(대표 최백준·최용호)은 국내 4번째 개방형 OS ‘K구름’을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K구름은 최신 데비안 리눅스 및 구름 OS 2.2에 기반해 개발된 OS로, 오는 4월 말 틸론의 연례 솔루션 컨퍼런스인 ‘데이비드 데이’를 통한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게스트 OS가 아닌 클라우드 단말기 임베디드(Embedded OS) 용으로 설계돼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데스크톱가상화(VDI) 및 서비스형데스크톱(DaaS)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틸론의 VDI/DaaS 클라이언트가 기본 제공된다.
특히,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보안 프레임워크가 적용돼 부트로더 및 커널에 대한 무결성 검증 수행을 기반으로 신뢰부팅, 운영체제 보호, 브라우저 보호, 실행파일 보호, 통합관리체계 등 보다 강화된 보안 기능이 제공된다.
최백준 틸론 대표는 “K구름은 가장 최신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개발돼 향후 개방형 OS의 길라잡이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만, OS의 경우 오피스 프로그램이 필수적인 플랫폼이므로 VDI/DaaS가 아닌 상용은 아직 염두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즉, 오피스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 임베디드와 타 OS개발사와 연계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틸론 측은 타 개방형 OS제품이 가상화 게스트 OS로 활용되기 때문에 해당 OS제조사의 요구 조건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이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기 위함이라고 출시 배경을 밝혔다.
정부가 주체로 개발한 구름 OS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틸론은 K구름을 정부의 스마트 업무환경 전환 추진계획에 발맞춰 정부 및 공공 DaaS 시장을 중심으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틸론은 이미 우정사업본부에 티맥스OS 3천 유저, 한컴구름 OS 2천 유저 등을 자사 VDI 솔루션인 ‘디스테이션(Dstation)’을 통해 상용 배포한 바 있다.
최백준 틸론 대표는 “2015년 이후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주축이 돼 추진해온 정부의 개방형 OS 도입 전략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일정과 맞물리면서 관련 업계의 활발한 참여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며,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보안에 대한 우려와 접속 단말기 제한 없이 클라우드 가상 환경에서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행정 업무를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형 데스크톱가상화(DaaS) 확산이 그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
앞으로 공공기관에서는 지정된 PC로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보안 기능이 대폭 강화된 오픈소스 기반 리눅스 탑재 단말기를 통해 가상화 방식으로 클라우드에 설치된 윈도우 게스트 OS에 접속,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국내 대표적인 개방형 OS는 한컴구름, 티맥스 OS OE 및 하모니카 OS 등이 있으며 개방형 OS 확산 보급사업이 구체화되면서 관련 업체의 확산 사업 참여도 활발한 상황이다.
윤주열 틸론 연구소장은 “K구름은 과기부 개발 산출물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방침의 일환으로 타 OS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구름 OS의 특징인 가볍고 안전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클라우드 형태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틸론은 현재 상표등록과 개방형 OS 협의체 가입 등 K구름 상용화를 위한 일련의 절차를 마무리했다. K구름은 오는 4월 말 공식 발표와 함께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며 개인 사용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K구름의 최소 사양은 인텔 펜티엄 골드 CPU, 메모리 4GB 이상, HDD 8G 이상이며, 권장 사양은 인텔 펜티엄 i3 CPU, 메모리 4GB, HDD 30 G 이상이다.
한편, 국내 OS 시장은 특정 제품에 대한 종속성이 높은 실정으로 과거 윈도우7 기술 종료 사례와 같이 기술지원 중단 및 업그레이드 비용 발생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틸론의 개방형 OS 참여로 기존 OS 종속성 탈피 및 개방형 OS 선택의 폭도 넓어질 전망이다.
틸론은 ‘행정 업무의 DaaS전환 사업’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와 클라우드 PC용 단말기가 필수가 됨에 따라 국내외 대기업 및 국내 제조사와 함께 노트북형, 모니터일체형, 박스형태의 제로클라이언트도 공동 개발 중이며 제로클라이언트 역시 4월 29일 ‘데이비드 데이’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