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팬데믹 따른 플레이어 행태 변화 트렌드 보고서 발표
[아이티데일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게임 이용자들의 플레이 시간이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평일에 게임을 플레이하는 비율이 크게 늘어났다. 더불어 모바일 게임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인앱(in-app) 구매 비중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및 운영 플랫폼을 제공하는 유니티는 플레이어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팬데믹을 겪은 지난 일 년 동안 게임 이용 행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게임 업계 보고서를 9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유니티 솔루션으로 제작 또는 운영되는 콘텐츠의 월간 이용자 28억 명 이상을 분석한 것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게임 산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데이터를 다루고 있다.
유니티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게임 개발자들은 플레이어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신규 콘텐츠 제작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새로운 콘텐츠 제작을 통해 신규 매출을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대규모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가 이뤄질 경우 최대 동시 이용자 수가 평균 11% 이상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에는 플레이어가 소유한 시스템에 관계없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모든 플랫폼을 아우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게임의 성공 여부가 좌우됐다. 2021년에 접어들면서 확장 가능한 크로스 플랫폼 솔루션이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는 개발자의 비율이 응답자의 9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주말 못지 않은 평일 플레이 시간의 증가가 확인됐다. 주말 이용자 수와 평일 이용자 수가 확연히 차이가 났던 예전과 달리 지난해에는 평일에 플레이하는 비율이 52% 상승하며, 양쪽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또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비디오 게임 플레이 방식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고해상도 그래픽으로 렌더링되는 HD 게임 플레이 규모가 38%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게임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광고 노출 및 관련 수익도 늘어났다. 팬데믹 이후 IAP(인앱 구매)가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돼 모바일 플레이어가 게임 개발자의 매출에 기여한 비중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2020년 전체 모바일 게임 광고 매출은 8% 이상, 첫날 IAP 구매도 2019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잉그리드 레스티요(Ingrid Lestiyo) 유니티 운영 솔루션(Operate Solutions) 부문 시니어 VP 는 “지난해는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일상의 회복을 원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사회적 소통의 밑바탕이 됐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유니티의 운영 솔루션은 소통의 경험과 플레이어의 참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해왔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