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하드웨어의 인증체계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업들이 당장 코앞에 놓인 정부 사업에 참여하는데 있어 RFID 인증이 걸림돌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유일한 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올해 초부터 RFID 관련 인증업무를 올스톱한 상태다. 이유는 작년 각 부처와 산하기관이 통폐합되면서 올해부터 RFID/USN 정책 업무를 맡게 된 지식경제부가 RFID 관련 인증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부설 RFID/USN센터를 주축으로 광양만권U-IT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 등으로 구성된 RFID인프라협의회가 새로운 RFID 인증체계를 만들고 있다.

문제는 RFID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새로운 환경에 맞춰 성능을 향상시킨 수정 제품을 내놓고 있다는 데 있다. RFID 하드웨어 업체들은 코앞에 닥친 정부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 인증이 필수적인데, 현재로선 이들 제품에 대한 인증을 받을 길이 없어 노심초사하고 있다.

정부는 경기활성화를 위해 예산의 조기집행을 서두르고 있으며, RFID 관련 사업 역시 3월초 사업제안서를 접수받아 사업자 선정을 거쳐 이르면 4월부터 계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된다. 이대로라면 계약이 성사되는 4월말까지는 인증을 마쳐야 한다. RFID 하드웨어 업체들로서는 인증이 사업참여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까 전전긍긍 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물론 정부와 유관기관도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RFID 인증체계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인프라협의회에 따르면, 3월 말까지 공통의 인증기준과 각 기관의 자율적 인증 체계를 정립하는 등 인증체계 수립을 완료할 방침이며, 4월부터는 RFID 인증업무를 본격 시작할 계획이다. 여기서 공통의 인증마크를 부여할지 아니면 각 기관별로 별도의 RFID 인증마크를 부여할지에 대해서도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이 마음을 놓을 만큼 가시적이고 분명한 방안을 신속히 내놓고 있지 않다. RFID인프라협의회를 중심으로 RFID 인증체계를 정립한다고 하지만 인증절차나 인증 지침 등 아직까지 구체화된 것이 없다. 또한 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이견도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공공분야 RFID 관련 사업제안서의 권고사항으로 제시돼 있는 이 같은 인증서 첨부사항의 문구를 삭제하는 방향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BMT를 정례화해 환경에 적합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기업에게 기회를 한 번 더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는 의견이다.

어쨌든 RFID HW 관련 인증은 제품의 최소한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하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서둘러 인증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관련 인증이 공공사업에 참여하려는 기업들의 또 하나의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