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의 피플소프트사 인수합병에 이어 보안 솔루션 업체인 시만텍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전문 업체인 베리타스를 인수 합병한다고 잇달아 발표했다. 또한 IBM은 최근 자사의 PC사업부를 중국 PC회사인 레노보에 팔아 넘겼다고 발표했다.
이밖에 올 한 해 동안 있었던 IT 기업들의 인수합병 사건은 상당수 있다. 예를 들어 IBM의 인도 콜센터 업체인 다크시 인수합병, 보안 솔루션 업체인 주니퍼네트웍스의 넷스크린, BMC의 마림바, EMC의 다큐멘텀과 VM웨어, SSA글로벌의 마캠, 스프린트의 넥스텔커뮤니케이션 등 10여개 이상의 크고 작은 인수합병 사건이 발생했다.
글로벌 IT 기업들의 이 같은 인수합병 사건은 매년 10여 건 이상 활발하게 발생한다. 기업들의 인수합병은 이젠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상적인 사건처럼 느껴질 만큼 자주 발생한다.
글로벌 기업들의 인수합병은 ‘경쟁사 흡수를 통한 시장영역 확장’이라는 것이 가장 큰 공통적 이유이자 배경이다.
기업들의 인수합병은 자유경쟁을 기반으로 하는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있을 수 있는 당연한 현상이다. 그러나 문제는 기업들의 인수 합병이 과연 누구에게 이익이 되고, 누구에게 해가 되느냐라는 데 있다.
우선 인수한 기업체는 매출규모증대와 시장점유율 확대, 그리고 기술력 확보 등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피인수 업체 역시 많은 돈을 받고 팔았기 때문에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업주와 주주들에게 받은 대가만큼의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업들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들이나 근로자들한테는 그렇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인수를 하게 되면 제품 및 인력, 기술 등 모든 부문을 통합하게 될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통합은 말처럼 그렇게 쉽지만은 않다. 서로 다른 조직문화, 업무 프로세스, 조직 간의 의사소통, 업무분담 등의 갈등으로 인해 하나의 조직처럼 움직이기까지는 상당 기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품이 통합될 경우 대다수 고객들은 한 제품만을 선택하게 된다. 즉 A사와 B사 제품을 같이 사용하던 고객은 통합된 제품의 성능과는 관계없이 어느 한 제품을 포기한다. 그 이유는 둘 다 운영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합한다고 해서 더 효과가 낫거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쉽게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쨌든 고객들은 제품 선택의 폭이 그만큼 줄어들고, 또한 장기적으로는 제품을 다시 구입해야만 하며, 공급업체에 이끌려 갈 가능성도 높다. 즉 제품 가격이 비싸거나 기술지원에 문제가 있어도 어쩔 수없이 이끌려 가야만 한다는 지적이다.
인력 통합에 따른 감원은 당연한 것. 오라클은 피플소프트 인수와 함께 전체 직원 약 1만 1,500명 가운데 52.3%인 약 6,000명 이상을 해고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고 및 퇴직 당한 절반 이상의 인력들은 어떻게 어디로 갈 것인가?
물론 해고된 직원들에 대한 보상은 이뤄질 것이다. 그러나 직장을 잃을 경우 다시 직장을 찾기란 그렇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물론 능력과 실력을 갖춘 인력들은 해고에 따른 보상비와 함께 새로운 직장도 얻을 수 있어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러나 대다수 직원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인력 통합은 또 대고객 지원 서비스 공백을 가져 올 수 있다. 서로 다른 조직문화와 업무 프로세스 등으로 인해 한 조직처럼 움직이면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받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 이로 인한 고객들이 받는 피해는 어떻게 보상해 주느냐일 것이다.
물론 해당 기업들은 문제없이 고객지원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는 대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그렇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게 고객들의 지적이다.
기술 통합도 마찬가지, 서로 다른 기술을 통합 할 경우 최소 2년 이상 걸린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그렇게 되면 향후 차기 기술 개발도 그만큼 더 늦어질 뿐만 아니라 기존 기술 및 제품 개발 계획도 전면 수정해야만 한다.
그렇게 되면 오히려 경쟁사에게 시장을 더 빼앗기게 되는 역효과도 나타날 수 있다. 어쨌든 기업들의 인수합병은 해당 기업들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지 모르지만 고객이나 일부 직원들 입장에서는 결코 득만 있다고 할 수 없다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편집자>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