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명 교수 "자원 공동 활용, 보안체계 성과...제3 데이터 센터 필요" 주장

"시스템 가동률이 크게 개선되고, 장비의 장애시간이 감소됐으며, 1인당 관리 서버의 수가 증가했다. 또 정보보안 및 재해복구체계도 개선됐으며, 대전과 광주 지역의 IT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정보통신부의 주최로 11월 16일 서울 63빌딩에서 열린 '정부통합전산센터 미래 발전전략 심포지엄'에서 발표자로 나선 정태명 성균관대 교수는 통합전산센터의 추진 성과를 이렇게 분석했다.
정 교수는 '범정부통합전산센터 추진성과와 미래모습'이라는 주제로 구축, 운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밝혔다.

정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시스템의 가동률은 통합 전인 2004년 5월 99.845%에서 통합 후인 2007년 6월에는 99.997%로 높아졌다. 정 교수는 이 수치에 대해 "장애로 인해 작동하지 하는 서버 대수가 통합 전 1천대 중 2대에서 통합 후에는 10만대 중 3대로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며 그만큼 서비스 수준이 높아진 셈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스템 가동률의 대폭 개선을 뒷받침하듯 장비당 월평균 장애시간은 2004년 5월 67분에서 2007년 10월에는 0.8분으로 단축됐다.

그리고 서버 운영관리 인력 1인당 관리 서버 대수가 통합 전 1.8대에서 통합 후 13대로 늘어나는 등 정보자원의 중복투자를 줄이고, 공동 활용률을 높였다. 또 IT 서비스 관리 부문 국제 인증(ISO 20000)을 획득했으며, 전체 직원의 67%에 이르는 120명이 시스템 운영에 관한 국제공인 자격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보안 모니터링, 출입통제 및 감시, 재해복구 대응 등 정보보안 및 재해복구체계도 강화됐다. 침입차단ㆍ탐지 시스템 비율은 통합 전 65%에서 100%로, 네트워크 이중화 비율은 31%에서 63%로 증가되는 등 24시간 365일 실시간으로 해킹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정태명 교수는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정부 기반 완성이라는 통합전산센터의 궁극적인 비전을 달성하려면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합 ▲코어 전산센터 구축 ▲지역 통합센터 구축 ▲행정 프로세스 혁신 등의 후속 사업이 필수적이며, 통합전산센터 등 국내 전자정부 시스템의 성공 모델을 앞세워 해외에 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특히 "현재 통합전산센터는 시스템의 위치 통합 수준에 불과해 운영 및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통합해야만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 대전, 광주 등 2개의 통합센터는 노출된 지역에 있어 테러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아무도 모르는 제3센터를 구축해 국가 기밀 자원의 관리 체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통합전산센터의 추진 경과를 보면 2004년 8월 정부통합전산환경 구축에 관한 ISP를 수립하고, 2005년 2월 정부통합전산센터 추진단을 구성해 2005년 10월부터 대전 제1센터에 입주하는 기관의 정보시스템 이전 작업에 들어가 2006년 10월에 완료했다. 2007년 1월에 광주 제2센터 추진단을 구성해 2007년 7월에 제2센터를 준공하고 정보시스템의 이전에 착수했다. 이전 작업은 2007년 12월에 완료된다.

대전 제1센터의 정보자원은 서버 2,238대 등 총 5,483대에 이르며, 정통부, 행자부 등 24개 부처가 입주해 있다. 광주 제2센터의 입주기관은 여성부, 건교부 등 24개 부처이며, 정보자원은 서버 2,050대 등 3,750대로 이뤄져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