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기 서버리스 아키텍처, “향후 대세 될 것”

[아이티데일리] 2014년 AWS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서버리스(ServerLess) 솔루션이 IT 업계 개발자들에 의해 한 달에 수십 조 번이 실행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서버리스는 서버의 운영·관리를 개발자를 대신해 CSP(Cloud Service Provider)가 도맡아 실행하기 때문에, 실제로 서버는 존재하지만 개발자의 업무에서 사라지는 것처럼 보여 ‘서버리스’ 혹은 ‘서버리스 컴퓨팅’, ‘서버리스 아키텍처’라고 불린다.

서버리스 컴퓨팅은 개발자가 서버를 운영·관리할 필요가 없어 비즈니스와 개발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과 컴퓨팅 리소스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자동화를 기반으로 대신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서버리스 환경은 최근 쿠버네티스, IoT 등 신기술과 결합돼 서비스가 제공돼 향후 시장에서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과도기 서버리스 아키텍처, “향후 대세 될 것”

“과거 서비스 아키텍처의 대부분이 모놀리식(Monolithic, 하나의 덩어리)으로 구성돼있었다면 지금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지나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진행하고 있는 과도기 시점이다.”

최영락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사업부 차장은 현재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트렌드가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옮겨가고 있으며, 아직은 과도기라고 강조했다. 사실 과거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전체 서비스, 즉 하나의 거대한 덩어리 형태를 기본단위로 설정했다. 반면, 최근에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다수의 컨테이너를 조율하는 기능)이 중요해지며 점차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위가 작은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

▲ 클라우드 서비스의 비로비저닝 변화(출처: 클라우드옵스)

즉, 점차 서비스 단위가 작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향후 서버리스 아키텍처가 주류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과거 모놀리식 아키텍처부터 서버리스 아키텍처까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 방식과 관계가 있다.

모놀리식 아키텍처가 서버 가상화 수준에 적합했다면, MSA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적합하며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경우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수준보다 더 작은 단위의 함수 관리에 적합하다. MSA의 경우 전체의 비즈니스 로직이 여러 개의 마이크로서비스로 쪼개져 각 서비스가 저장계층에서 각각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조다. 가령, 보안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는 보안 서비스가 갖고 있고,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비스가 갖고 있다. 이를 통해 MSA가 모놀리식 구조보다 서비스를 작은 단위 수준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서버리스 아키텍처에서는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가 API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백엔드 서비스를 호출하고, 저장계층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대신 저장 기능 자체가 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식이다.

이렇듯 아키텍처의 발전 단계가 모놀리식에서 MSA로, 이제 막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서버리스가 여전히 초창기 시장이라고는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음 물결로 많은 업계 관계자들이 서버리스를 언급하고 있으며, 서버리스 아키텍처가 조직의 개발과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는 기대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현재 ▲기술 성숙도 ▲지속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문제 등의 단점도 갖고 있다. 하지만 대형 CSP들이 서버리스 아키텍처 지원을 본격화하면서 기술적 성숙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들도 점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