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초 세바른병원 김태희 원장)
 
땀은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분비된다. 그런 탓에 여름이면 자연스럽게 땀이 많아질 수 밖에 없는데, 요즘처럼 추운 겨울에도 땀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다한증을 앓는 경우다.

다한증은 손이나 발, 얼굴, 겨드랑이 등에 과도하게 땀이 나는 증상을 일컫는다. 특별히 통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당사자에게는 땀이 나는 그 자체가 고역이다. 다한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위인 손의 경우, 글씨를 쓰거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적잖은 불편을 초래한다. 무엇보다 불쾌한 악취를 동반한다는 점 때문에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거나 우울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서초 세바른병원 김태희 원장은 “신체에 대칭적으로 발한이 심하거나 사회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받을 정도로 땀의 양이 많다면 이를 다한증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는 것이 좋다. 또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잠을 자는 동안에는 비교적 땀이 나지 않는 경우에도 다한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체온이나 외부의 기온과 상관없는 땀 분비는 왜 나타나는 것일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땀의 분비를 제어하는 자율신경계의 이상인데, 이를 원발성 다한증(특별한 원인 없이 나타나는 다한증)이라 한다. 반면 갑상선기능항진증, 당뇨병처럼 선행질환으로 인한 것은 속발성 다한증으로, 이 선행질환에 대한 치료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

만약 정밀검사 결과 원발성 다한증으로 진단 받았다면, 불필요한 땀의 분비를 줄일 수 있는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치료마다 뚜렷한 장단점을 갖고 있는데, 가장 흔하게 쓰이는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를 들 수 있다. 땀이 나는 부위를 씻고 건조시킨 뒤 약물을 바르는 것이다. 비용이 저렴하고 방법이 간단한 반면 지속 기간이 짧고, 사람마다 체감하는 효과의 차이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약물치료의 일시적 효과에 만족하기가 어렵다면 교감신경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간단한 수술을 통해 과도하게 땀을 분비하도록 만드는 교감신경을 절제해주는 것으로써, 전신에 나타나는 다한증이 아닌 국소적으로 발병하는 다한증에 주로 활용된다. 다만 치료 후 시술 부위 외에 다른 부위에서 땀이 나는 보상성 다한증이 후유증으로 남을 수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보톡스가 다한증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주사기를 이용해 다한증이 있는 부위에 보톡스를 주입하는 것이다. 이는 손이나 발처럼 국소적으로 땀이 나는 경우에 적합한 치료로, 보톡스의 양에 따라 시술 후 6개월에서 1년 가량 효과가 지속된다. 특히 겨드랑이 다한증의 경우 90% 이상에서 효과를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초 세바른병원 김태희 원장은 “보톡스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는 흉터가 없고, 소요시간이 20분 가량일 정도로 시술이 간편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양질의 국내산 보톡스가 출시되면서 가격이 크게 인하돼 금전적인 부담도 적은 편이다. 단 정확한 부위에 적량을 투여해야만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므로 임상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에게 시술 받을 것을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