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노인 복지 및 질환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람에게 가장 기본적인 행동이 되는 ‘먹는’ 데에 큰 불편을 겪는 노인들이 적잖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면, 건강했던 치아가 하나 둘씩 빠지게 된다. 특히 나이가 많은 노인들은 1~2개의 치아가 아닌, 다수의 치아를 상실하면서 음식을 맛있게 먹는 즐거움을 잃게 되고, 소화 기능은 물론 영양 공급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치아의 기능을 복원할 수 있는 치과치료가 시급한 경우가 많다.

한번 손상된 치아는 되돌릴 수 없다. 몇 개 정도의 치아가 빠진 경우라면 브릿지 혹은 임플란트를 통해 치아를 수복할 수 있다. 하지만 다량의 치아가 소실됐거나 무치악(치아가 모두 빠진 상태)인 경우라면 틀니나 임플란트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외형을 회복시켜 줘야 한다.

다만 틀니와 임플란트 모두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신림역 연세유라인치과 강동호 원장은 “틀니는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이지만 오래 사용할 경우 관리와 사용이 불편할 수 있고,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가장 비슷한 저작력을 발휘하지만,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며 “최근에는 이러한 틀니와 임플란트의 장점을 결합한 ‘임플란트 틀니’의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틀니는 잇몸의 본을 뜬 후 인공 잇몸과 치아가 연결된 보철물을 잇몸과 턱 뼈 위에 얹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되며, 치아를 일부 상실한 경우 부분틀니를, 치아를 완전히 상실한 경우 전체틀니를 적용하게 된다. 외과적 수술이 없어 치료 과정의 부담이 적고, 전체 치아의 기능을 비교적 경제적으로 회복할 수 있으며, 치료 기간 및 내원 횟수도 많지 않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틀니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틀니를 빼고 낄 때 잇몸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음식을 씹을 때 틀니가 움직여 단단한 음식은 먹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틀니 장기사용으로 인해 잇몸뼈(치조골)가 지속적으로 흡수돼 소실됨으로써 틀니가 점점 더 헐거워지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반면 임플란트 틀니는 2~4개 정도의 최소한의 임플란트를 심고, 틀니와 특수한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하는 보철방식을 말한다. 건강 문제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지 않거나, 임플란트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 또는 틀니의 오랜 착용으로 인해 틀니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경우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임플란트 틀니는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심으면서 입 안에서 틀니가 고정되어 있어 움직이지 않고, 잇몸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해 주기 때문에 잇몸이 헌다거나 상하는 등의 틀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신림역 연세유라인치과 강동호 원장은 “틀니와 임플란트 틀니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난이도가 높은 치과 치료이기 때문에, 누구를 통해 어떻게 진행이 되는가도 중요하다. 즉 이상적인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첨단 장비를 통한 정밀 검사,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 의료진의 노하우 그리고 정교하고 빠르게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 등이 갖춰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