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중국시장 철수 위협을 놓고 미국과 중국 양국 간의 전면전 양상을 보여 주목을 끌고 있다. 요지는 중국 시장에 진출해 있는 인터넷 검색 전문업체인 미국의 글로벌 기업인 구글에 대한 인터넷 검열과 해킹에 대한 반발이다.

결론은 시간을 두고 좀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구글의 중국 철수 위협은 난센스에 불과하다. 설사 철수한다고 해도 중국은 눈 하나 까딱하지 않을 것임에 분명하다. 중국은 자국의 문화와 역사, 전통을 유지 발전해 나갈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다. 때문에 윤리와 도덕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면 이를 보호하려는 게 당연하다. 그렇다고 구글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자국 시장에 먼저 불러들인 것도 아닐 것이다. 구글은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 즉 성장 잠재력과 가능성이 높고 경제성장률 또한 세계 최고이기 때문에'돈'을 벌기 위해 진출했을 것이다.

미국이 아무리 막강한 힘을 가졌다한들 구글을 두둔할 명분이 미약하다. 오히려 궁색한 변명으로 입장만 난처해질 뿐이다.

무릇 이번 사건은 먼 산 바라보듯 그냥 지나쳐 버릴 일은 아닐 듯싶다. 잘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위협을 받은 경우도 있었고, 가능성 또한 높기 때문이다. 한국시장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기업, 특히 IT 관련 기업들은 그 어느 업종분야보다 유독 많다. IBM, 인텔, HP,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시스코 등 수 십 개의 크고 작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다. 한국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이유도 있었겠지만'돈'벌이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결코 진출하지 않는 게 글로벌 기업들의 생리다.

이들 글로벌 기업들이 매년 우리나라로부터 벌어들이는 돈은 수조원에 이를 것이다. 대다수 글로벌 기업들은 매년 매출 목표를 15~20% 이상 상향 조정하고 있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해는 거의 없었을 만큼 이들은 성장가도를 달려오고 있다. 한국시장에서의 적자로 인해 철수를 한 글로벌 기업은 드물다. 오히려 한국에서의 성장을 토대로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선 기업들이 더 많다.

그런데도 이들 기업들은 2% 부족이라는 이유로 채우지 못할 욕심을 강요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심지어 철수 위협을 공공연히 내세워 직원들을 옥죄기까지 한다고 한다. 미국 발 금융위기 이후 이 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의 매출규모는 글로벌 전체의 1~2%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철수하면 그만이라는 게 그들의 위협 명분이다. 자기들 입맛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한 때 IBM이나 HP 등의 글로벌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비록 외국산이지만 최첨단 기술과 제품 판매를 통해 국가 산업발전에 도움을 준다는 자긍심과 자존심으로 명예롭게 회사를 다녔다.

그러나 그것은 옛날이야기로 흘러가버린 지 오래됐다. 그저 영업목표 달성에 쫓겨 제 목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자리를 지키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안타까운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국내 시장에 진출한지 40년, 30년, 20년 된 글로벌 기업들이 많지만 역사에 비해 한국 속의 기업으로 뿌리 내린 기업은 드물다. 그것은 일방적으로 벌어들이기만을 강요하기 때문은 아닐까?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한국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만으로 상생의 의무를 다 했다고 만족해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언제나 낯설게만 느끼게 할 뿐 상생의 전략은 결코 아니다. 시장이 없으면 글로벌 기업도 없다. 상생하는 길만이 한국이나 중국 속의 기업으로 뿌리 내릴 수 있고, 더욱 성장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