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데이터 연계 건수 20,000건, 정책맞춤형 분석과제 수행 3,200건 등 세부 과제도

행정안전부가 제시한 데이터기반행정활성화 기본계획 3대 추진 전략 및 10대 과제 
행정안전부가 제시한 데이터기반행정활성화 기본계획 3대 추진 전략 및 10대 과제 

[아이티데일리] 정부가 부처·공공기관의 데이터 칸막이를 허무는 작업에 본격 돌입한다. 공유방식 전환, 기관 간 데이터 공유 지원시스템 확대 구축 등 작업을 수행해 데이터를 전면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7일 행정안전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제2차 데이터기반행정활성화 기본계획(’24~’26)을 수립했다.

행정안전부는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추진된 ‘제1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2021~2023)’이 만료됨에 따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제2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2024~2026)을 수립했다. 이번에 수립된 기본계획에 따라 정부는 업무수행 방식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국민 중심의 정책 의사결정 환경으로 전면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제2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에서는 지난 3년간의 1차 기본계획 이행결과를 토대로 △공유데이터 연계 건수 20,000건 달성 △정책맞춤형 분석과제 수행 건수 3,200건 달성 △데이터 역량 수준 3단계 달성 등 목표를 설정하고 3대 추진전략 및 10대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특히 정부부처와 자치단체, 공공기관은 기본계획 이행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 추진에 2024년 5,282억 원을, 2025년에는 4,670억 원을 26년에는 3,911억 원을 단계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총 1조 3,863억 원이 적용될 예정이다.

먼저 기본계획의 첫 번째 전략은 데이터를 범정부 데이터공유플랫폼 한 곳에 모아 공유한다. 각 기관 공유데이터 구축과 함께 모든 데이터가 연결·공유되는 범정부 차원의 국가공유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해 공유데이터 생성, 제공, 활용 전(全)단계에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즉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필요한 데이터의 소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공유데이터맵도 제공한다. 2023년 8,504건인 공유데이터 등록건수(누적)를 2026년까지 20,000건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다음으로는 정책 맞춤형 데이터 분석으로 과학적 행정 추진을 가속화한다. 구체적으로 세계 최초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인 ‘케이-봄(K-VoM)’과 같이 사회 현안 해결에 도움을 주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제를 발굴·추진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신뢰받는 정책 추진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여러 기관에서 공동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적극 발굴하고 공무원이 손쉽게 데이터를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 컨설팅 및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통한 맞춤형 분석환경을 제공한다. 2023년 2,407건인 정책맞춤형 분석과제 수행 건수(누적)를 2026년에는 3,200건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공유·분석·활용을 일상화해 데이터기반행정 문화를 정착하도록 유도한다. 데이터기반행정 일상화를 위해 법·제도를 정비하고,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 공유 및 기관 간 데이터 협력 활성화 등을 통해 데이터 분석·활용 문화를 조성한다. 기관 및 개인의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진단을 통해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지난해 2단계에 머물던 데이터 역량 수준(평균)을 2026년에는 3단계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은 “지난 3년간 1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에 따라 데이터기반행정의 기반을 다져온 만큼 앞으로 3년은 데이터기반행정을 정착·확산하는데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