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산업처럼 교육도 벤더 종속 우려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를 통해 비즈니스의 새로운 길을 찾고 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를 성공적으로 끌어가기 위한 핵심 요소로 ‘클라우드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클라우드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지한 정부 역시 몇몇의 기관을 지정해 교육을 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는 부분은 2가지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교육 사업의 수와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과 클라우드 전문 교육이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의 서비스 사용법에 대해서만 교육한다는 점이다. 최근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펼치며 경제 부양을 위해 힘쓰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와 관련된 교육 사업의 수와 예산이 적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클라우드 교육 사업과 이를 뒷받침할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나마도 AI, 빅데이터 교육 사업에 포함돼있으며, 그 안에서도 차지하는 비율은 현저히 적다”면서, “클라우드 교육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상황에서 클라우드 관련 사업을 쏟아내는 것이 과연 올바른 정책인가에 대해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현재 정부의 클라우드 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한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이 바우처 사업을 통해 기존의 구축형 SW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개발해도 사업 기간이 끝나면 클라우드 사용을 멈추고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수혜를 보는 기업은 결국 CSP 사업자들이다. 우리나라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를 육성하는 교육 사업을 소홀히 하고, CSP들만 이득이 되는 정책으로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가 밝을 수 없다는 말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전반에 대한 교육이 아닌 특정 CSP의 솔루션 사용법에 대한 교육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 역시 우려된다. 미적분을 배우는 학생에게 미적분을 해야 하는 이유도 알려주지 않은 채 공식만 알려주고 문제풀이만 시키고 있는 셈이다. 클라우드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네트워크 기초부터 OS 등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선행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실제로 정부의 예산으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교육 사업 가운데, 클라우드를 위한 기초 교육을 진행하는 곳은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CCCR) 한 곳 뿐이다.

사상누각이라는 말이 있다. 기초가 약하면 오래가지 못함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전환의 근간이 되는 클라우드에 대한 기초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목적을 둬야만 국내 클라우드 산업 부흥이 가능하다. 단순히 특정 CSP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교육은 현재 국내 클라우드 업계가 직면한 CSP 벤더 종속 문제를 심화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핵심이 되는 창의성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교육은 미래를 바라보는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인 만큼 정부의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뒷받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