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노후지하공동구 관리체계 등에 중점

[아이티데일리] 지난해 1월 시작된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는 격변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각국의 봉쇄조치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는 심각한 충격을 받았으며, 경제 및 사회적 구조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는 코로나19가 불러온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지금까지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7월 우리 정부는 코로나19가 불러온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한국판 뉴딜은 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역동성을 확산하기 위한 ‘디지털 뉴딜’이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정보통신(ICT) 산업을 기반으로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여 전 산업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뉴딜 정책에는 ▲D·N·A(Data, Network, 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등의 목표가 담겨 있다.

이제 2021년 7월, 정책 발표 이후 1년이 지났다. 그동안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 많은 내용이 발표됐다. 정부의 빠른 지원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된 분야도 있으며, 아직 세부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에 머문 분야도 있었다. 1주년을 맞이한 디지털 뉴딜 정책을 점검해본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노후지하공동구 관리체계 등에 중점

지난 2018년, 경기도 고양시 백석역 인근에서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지하 배관이 폭발해 1명이 사망하고 2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991년 설치된 열수송관이 오래돼 열을 견디지 못해 발생한 사고였다. 만일 앞서 발생한 참사에 AI,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이 접목됐었다면 어떻게 됐을까. 폭발은 막을 수 없을지라도, 인명피해는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수많은 사회간접자본(SOC)은 노후화돼 있다. 정부도 이를 개선하고자 1995년 1차 공간정보 기본계획을 세우며 본격적으로 나섰다. 6차 기본계획까지 나온 정부의 SOC 디지털화 작업은 지난해 디지털 뉴딜 정책을 만나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정부는 정책 내 10개의 핵심 프로젝트를 공개했는데, 그중 핵심이 되는 한 가지가 바로 노후화된 사회간접자본(SOC)의 ‘디지털화’다.

지난해 처음 시작된 디지털 뉴딜 정책 가운데, SOC 디지털화에 책정된 예산은 2020년 8,140억 원이었다. 올해 예산은 1조 5,010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첨단도로교통체계(C-ITS, 노후지하공동구 등) 관련 예산에 5,179억 원,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296억 원, 스마트 공항 구축에 68억 원 등이 배정됐다.

SOC 디지털화 프로젝트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과 노후지하공동구 관리체계 등에 중점을 두고 똑똑한 국가 인프라 관리체계를 구현하는 것을 골자로 진행되고 있다. C-ITS는 자동차 또는 교통 인프라 간의 상호 통신으로 안전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전국 고속국도 중 85Km에만 구축돼 있었다. 이는 전체 2%에 못 미치는 수치다. 이를 2022년에는 2,085Km(51.2%), 2025년에는 4,075Km(100%)로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2025년에는 전체 국도와 4차로 이상 지방 주요 간선로 모두에 C-ITS를 구축한다. 이와 관련된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담당하고 있으며, C-ITS에는 지능형 교통체계 시스템, 교통정보 수집·소통관리 시스템, 스마트 CCTV 사고관제, 스마트 신호체계 등이 포함돼있다.

현재 노후지하공동구 관리체계 고도화를 위한 사업으로 ‘디지털 트윈 기반 재난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사업’과 ‘지하공동구 스마트 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를 있는 그대로 가상세계에 구현하는 기술로, 건축 등의 산업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노후화된 지하공동구에 신기술을 접목, 다양한 정보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혹시 모를 재난을 예측하고 확대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20년 4월 시작해 2024년 12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인 ‘디지털 트윈 기반 재난 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사업’은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4개 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주관기관이며, 총 21개 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294억 5,000만 원으로, 200여 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DT연구단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트윈 기반 재난안전플랫폼을 개발하고, 행정안전부는 재난확산 예측 및 현장중심 예방·대비·대응 기술 및 서비스 실증을 담당, 국토부는 실시간 3D 공간정보 생성 및 갱신 기술 개발을, 산자부는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감지를 위한 지능형 멀티 센서 및 구호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지난해 8월 현장 실증 서비스 대상 공동구를 선정했고, 9월~12월에는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 및 현장 환경 분석을 수행했다. 해당 사업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와 해당 기술 요소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국 31개 공동구 가운데, 청주시 오창 공동구가 현장 실증 서비스 대상 공동구로 선정됐다”며, “지난해에는 46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오창 공동구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과 디지털 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운영관리·이동형 시스템·통합관리·확산예측을 분석하고 설계했다. 현재 62억 원을 투자해 현장중심 예방·대응·요소 기술과 공유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통합관리 기술개발과 확산예측 시제품 개발, 2023년에는 1차 현장 실증, 2024년에는 2차 현장 실증과 기능 고도화를 거쳐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하공동구 스마트 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의 경우 광주광역시와 세종시에 각각 10Km의 지하공동구에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대표적으로 광주광역시는 상무지하공동구에 위치한 전력·통신·상수도 등의 기반 시설을 AI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했다.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시스템 구축을 시작했고, 올해 1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해 운영 중이다. 광주시는 해당 사업을 수주함으로써 국비 32억 5,000만 원을 지원받았고, 이 금액을 AI, 광센서, 레일로봇, 디지털 트윈 등에 활용했다.

광주광역시 ‘지하공동구 스마트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 관련 관계자는 “지하공동구는 지상 시설물과 달리 접근이 어렵고 눈에 보이지 않아 재난 발생 시 모니터링과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면서, “이번 사업을 통해 스마트 IoT 센서로 지하공동구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상 징후를 탐지해 조기 대응과 24시간 상시 점검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스마트 관리 시스템이 AI 기반으로 구축돼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영상과 데이터를 생산·수집·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하공동구 내 실시간 이상 감지와 신속 대응을 위해 화재, 시설물 파손, 작업자 출입, 안전장구 착용 여부, 쓰러짐, 도움 요청 등도 식별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또 이 관계자는 “현재 지하공동구에 구축된 ‘AI 기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직원들은 “만족스럽다”,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다”, “안전에 대한 요소가 강화됐다”고 말한다”며, “이렇게 빠른 시일 내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던 건 광주시가 AI 직접단지를 짓는 등 AI 메카로 탈바꿈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기 때문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디지털 뉴딜 내 여러 프로젝트 가운데, SOC 디지털화 프로젝트 사업을 발주 낸 곳과 사업을 수행한 곳 모두 해당 프로젝트의 현재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SOC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고, 교체하는데 공수가 많이 들어간다. 그렇다고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이를 디지털 트윈, 5G, AI, 지능형 CCTV 등을 활용해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노후화돼 교체할 수 없는 SOC의 경우 집중 관리도 가능하다. 대규모 예산이 투입된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도가 높다는 얘기다.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보다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시스템들이 운영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