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챗GPT’에 그룹채팅 기능 국내 도입

GPT-5.1 기반 응답, 소셜 기능, 안전장치 등 강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2025-11-14     박재현 기자
챗GPT 그룹채팅

[아이티데일리] 오픈AI는 같은 대화창 안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챗GPT(ChatGPT)와 함께 대화를 나누며 협업할 수 있는 ‘그룹 채팅(Group Chat)’ 기능을 국내 시범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파일럿은 챗GPT에서 공유 경험을 만들어 가는 초기 단계로 한국과 함께 일본, 뉴질랜드, 대만 등 일부 국가에 먼저 도입됐다. 그룹 채팅을 통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과 챗GPT를 한 대화창 안에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주말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그룹 채팅을 만들어 챗GPT로부터 여행지 비교, 일정표 작성, 준비물 체크리스트 생성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모두가 그 대화에 참여해 내용을 따라갈 수 있다.

아웃라인을 작성하거나 새로운 주제를 조사하는 다른 사용자들과의 협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기사·메모·질문을 공유하면 챗GPT가 정보를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그룹 채팅을 시작하려면, 새 대화 또는 기존 대화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사람 모양의 아이콘을 탭하여 다른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채팅 참여자는 최대 20명까지 가능하며, 채팅 링크를 통해 누구나 쉽게 초대하거나 참여할 수 있다.

그룹 채팅 내 챗GPT 응답은 GPT-5.1 오토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챗GPT 응답에만 요금제 별 사용량 제한이 적용되며, 사용자 간 메시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새로운 소셜 기능도 추가됐다. 챗GPT는 대화 흐름을 따라가며 그룹의 대화 맥락에 따라 언제 응답할지 또는 조용히 있을지를 스스로 판단한다. 챗GPT의 답변이 필요할 때는 ‘ChatGPT’라고 언급하면 된다. 또한 채팅 메시지에 이모지를 반응으로 남길 수도 있다. 그룹 대화 안에서 재미있는 개인화 이미지를 요청하면 대화 참여자들의 프로필 사진을 활용해 생성할 수 있다. 각 그룹 채팅마다 응답 방식을 정의하는 커스텀 지침도 설정할 수 있다.

그룹 채팅은 개인 대화와 완전히 분리돼 개인적으로 쓰는 챗GPT의 메모리가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지는 않는다. 또한 만 18세 미만 사용자가 그룹 채팅을 이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그룹 전체에 대해 민감한 콘텐츠 노출을 줄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부모나 보호자는 부모 통제 기능을 통해 그룹 채팅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오픈AI코리아 김경훈 총괄 대표는 “그룹 채팅 기능은 사용자가 친구, 가족, 동료들과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창의적인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도와줘 챗GPT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협업하고 소통하는 공유 공간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며, “한국을 포함한 초기 시범 운영 국가의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