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소프트, 2025 서울 코엑스 기후테크 컨퍼런스 참가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과 ‘탄소공간지도’ 플랫폼 공개

2025-10-13     김호 기자

[아이티데일리] 선도소프트는 서울특별시 주최로 서울 코엑스에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모두를 위한 스마트한 기후테크(Smart Climate Tech for All)’를 주제로 열린 기후테크 컨퍼런스에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과 ‘탄소공간지도’ 두 가지의 플랫폼을 가지고 ‘스마트랩’ 부문에 참가했다.

선도소프트는 서울특별시 주최로 서울 코엑스에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열린 ‘기후테크 컨퍼런스’에 참여해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과 ‘탄소공간지도’ 플랫폼을 공개했다.

전세계 도시와 혁신기업이 참여한 이번 컨퍼런스는 ‘스마트라이프위크(SLW)’와 연계해 인공지능(AI), 로봇 등 미래 핵심 기술과 함께 기후테크의 비전을 확산하는 장이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후테크란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최근 폭염이나 한파, 집중호우 가뭄 등이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기후 위기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전문가, 기업, 공공기관이 모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은 물론 기후테크 산업의 세계적 트렌드와 성장방안, 미래전략 등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특히 올해 기후테크 컨퍼런스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테크 분야가 강조됐다. ‘기후테크 컨퍼런스’에서는 윤순진 서울대 교수, 정무성 현대차 정몽구재단 이사장, 인플루언서 슈카 등이 연사로 나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미래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기후테크의 목적과 목표에 부응하고자 선도소프트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 그리고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탄소공간지도’ 두 가지의 환경 플랫폼을 통해 AI와 데이터 기반의 지속가능한 기후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두 플랫폼을 통해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후테크의 핵심 목표인 ‘데이터로 실현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선도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은 동일한 에너지원을 다루는 플랫폼의 통합 연계를 위해 구축된 시스템이다. 기존 여러 에너지원을 활용한 플랫폼의 중복된 데이터 수집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구축했고 이를 통해 에너지 관리를 집중화했다. 플랫폼에서는 에너지 맵, 에너지 통계, 나의 에너지 등 여러 통계페이지와 올해 리뉴얼 된 GIS를 통한 에너지 시각화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정보는 서울시의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원인 전기, 가스, 지역난방에 대해 각각 온실가스 환산 계수를 적용해 각 에너지원 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환산한다. 이렇게 산출 된 값은 지자체 단위, 법정동 및 행정동에 제공하고 있다.

이번 기후테크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의미 분석 기술이 주목받았다.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에는 ‘에멘틀(Emantle)’이 있다. 에멘틀은 파이썬(Python) 기반으로 개발된 온라인 단어 추리 게임으로, 단어 간 의미적 유사도(Semantic Similarity)를 계산하는 언어모델의 원리를 활용한다. 사용자는 임의의 단어를 입력하며 정답 단어와의 의미적 거리를 좁혀가는데, 이 과정을 통해 AI 언어모델이 언어 간 의미 관계를 수치화·해석하는 방식을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처럼 에멘틀은 단순한 게임을 넘어, 언어 데이터의 의미 구조를 이해하고 응용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 또한 방대한 에너지 데이터를 의미 단위로 분석하고 시각화함으로써, 미래에는 AI 기반의 ‘에너지 의미 해석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이 플랫폼은 시민이 직접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한눈에 확인하고, 생활 속 절감 행동이나 친환경 정책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에너지 데이터를 시민이 쉽게 이해하고, 환경 보호와 탄소 감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에너지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서울시 에너지 정보 플랫폼’은 동일한 에너지원을 다루는 플랫폼의 통합 연계를 위해 구축된 시스템이다.

‘탄소공간지도’는 전국의 탄소배출활동과 탄소흡수성능을 시각화한 지도이다. 전국단위 배출활동과 흡수성능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건설부문(전기, 가스, 지역난방) 배출활동과 산림부문 탄소흡수성능을 격자 단위로 구축했다. 지역별 탄소배출 활동 및 흡수성능 지도는 행정구역별로 탄소배출활동과 탄소흡수성능을 조회할 수 있도록 검색기능을 추가했다. 격자, 행정경계, 용도지역으로 검색조건 설정 후 원하는 형태로 배출활동 흡수성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탄소 배출 및 흡수 통계의 경우 탄소배출활동과 탄소흡수성능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조건 및 검색을 통해 행정경계별로 또는 용도지역별로 통계를 제공한다.

에멘틀은 파이썬(Python) 기반으로 개발된 온라인 단어 추리 게임으로, 단어 간 의미적 유사도(Semantic Similarity)를 계산하는 언어모델의 원리를 활용한다.

선도소프트 최인호 상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기술 중심의 접근을 넘어, 시민과 함께 만드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관리 체계에 초점을 맞췄다”며 “AI 기반 분석과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높이고,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