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피해 시스템 709개…복구율 30.2%

‘엔탑스’ 복구로 목록 재확정, 개발 치중 탓에 안정적 운영은 뒷전

2025-10-10     성원영 기자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647개로 발표됐으나 실제로는 709개였던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은 30.2%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이번 복구 지연이 정부가 그동안 전산 시스템의 개발과 확장에만 치중한 채 중장기적인 운영관리에 미흡했던 부분이 드러난 결과라고 지적한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당초 647개로 발표됐으나, 실제로는 709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픽사베이)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의 데이터가 복구돼 대전센터의 전체 시스템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한 현황 파악이 가능해졌다.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과 같은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돼 시스템 수가 증가했고, 온나라문서 시스템은 기관별로 있던 목록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으로 통합되는 등 목록 변화로 중단된 시스템 목록이 647개에서 709개로 늘어났다.

현재 확정된 시스템은 등급별로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 등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0일 오전 6시 기준 214개(30.2%) 시스템이 복구됐다.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에도 복구 작업이 이어져 47개 시스템이 복구됐으며, 214개 시스템 중 22%가 추석 연휴 기간 정상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복구 속도의 문제를 지적하기에 앞서, 복구 과정에서 드러난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3·4등급처럼 중요도가 낮다고 분류된 시스템이 실제로는 1등급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며 “예를 들어 인증 시스템이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자체 중요도는 낮게 판단돼 백업이나 이중화가 소홀할 수 있으나, 이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만 1등급 서비스 접근이 가능해진다”고 지적했다. 즉 하위 등급 시스템의 복구가 지연될 경우 상위 등급 시스템 복구 역시 발목이 잡히는 구조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IT 정책이 서비스 확장에만 치우쳐 안정적 운영 관리와 재난 대비 체계 구축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부처별로 전자정부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확장하는 데 치중하는 대신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먼저 확보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그동안 개발사업에는 예산이 집중됐지만 운영 및 유지관리 부문은 경상비와 같이 비용 절감 대상으로만 여겨져 왔다”며 “서비스 규모를 다소 줄이더라도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