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이매트릭스, 온톨로지 AI ‘트리니티’ 출시…“목표는 K-팔란티어”
자연어 기반 데이터 분석 넘어 업무 수행, 의사결정 지원 가격 경쟁력 앞세워 국내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 시동
[아이티데일리] 비아이매트릭스가 자연어 프롬프트만으로 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 ‘트리니티(TRINITY)’를 선보인다. ‘온톨로지(Ontology)’ 기반으로 답변 정확도를 높인 이 솔루션을 앞세워 한국의 ‘팔란티어’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비아이매트릭스는 1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AI 개발 플랫폼 ‘트리니티’ 출시를 발표했다.
트리니티는 온톨로지 기반의 에이전틱(Agentic) AI 개발 플랫폼으로, 데이터 분석을 넘어 추론과 의사결정까지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온톨로지는 데이터의 속성, 관계 등을 지식 구조로 체계화하고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재구성한 모델을 뜻한다.
회사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트리니티에 온톨로지를 적용했다. 온톨로지를 활용하면 데이터 간 관계를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가령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에서 장기 재고 제품을 찾아 원인을 분석하거나 특정 업무에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는 일을 AI가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비아이매트릭스 컨설팅사업본부 전규화 상무는 “기존 AI 솔루션인 ‘지매트릭스(G-MATRIX)’는 사내 데이터베이스(DB)에서 특정 정보를 찾거나 추리는 기능을 갖췄다. 트리니티는 더 나아가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트리니티는 일반 사용자가 온톨로지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AI 에이전트를 제작할 수 있는 ‘디자이너(Designer)’ 기능을 지원한다. 업무 담당자는 인사, 유통, 재무 등 각 업무 영역에 적합한 에이전트를 생성한 뒤 자연어 질의만으로 데이터 분석·추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만들어진 에이전트를 웹이나 다른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API도 제공한다.
비아이매트릭스는 보다 복잡한 업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에이전트 간 연계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비아이매트릭스 최고기술책임자(CTO) 한진수 전무는 “질문에 적절한 에이전트로 연결하는 체계는 마련했다. 다만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이 까다로워 현재는 특정 에이전트를 선택해 대화하는 형태로 제공 중”이라며 “제품 출시 후 데이터가 축적되면 에이전트 간 연계 기능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리니티를 선보인 비아이매트릭스의 지향점은 한국의 ‘팔란티어(Palantir)’다.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는 미국의 데이터 분석 기업으로 중앙정보국(CIA), 국방부(DoD) 등 정부 및 국방기관에 AI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을 공급하며 급성장했다.
우리나라 대기업에서도 팔란티어 솔루션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높은 가격에 실제 적용은 더딘 편이다. 비아이매트릭스는 팔란티어에 대응할 수 있는 강점으로 가격 경쟁력을 꼽았다. 100억 원을 호가하는 팔란티어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온톨로지 기반 AI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진수 전무는 “비아이매트릭스는 오랜 기간 쌓은 노하우로 자연어를 SQL로 전환하는 기술이 우수하다. 메타데이터를 활용해 용량과 성능 부담을 덜면서도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온톨로지 기반 AI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비아이매트릭스는 트리니티 공식 출시 전부터 국내 제조, IT, 유통 등 다양한 산업 분야 대기업과 개념검증(PoC)을 진행했다. 앞으로도 대규모 데이터 분석과 업무 자동화가 필요한 대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배영근 대표는 “트리니티는 회사가 20여 년간 축적한 기술의 집약체”라며 “기업들이 트리니티로 업무 생산성은 물론 데이터 기반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실현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산업 전반에 폭넓게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