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이쿠 “‘유니버설 AI 플랫폼’으로 韓 기업 AX 지원”
핵심 고객사 확보해 점진적 비즈니스 영역 확대…대한민국 국가 경쟁력 향상 기여 목표
[아이티데일리] “현재 한국 기업들은 인공지능(AI) 도입에 뜨거운 열망을 갖고 있다. 그러나 막상 AI 전환(AX)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방법론을 택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바로 이 지점에서 데이터이쿠의 ‘유니버설 AI 플랫폼(Universal AI Platform)’이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
3일 데이터이쿠 김종덕 한국 지사장은 서울시 송파구 소피텔 앰버서더 호텔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국내 주요 구축 사례를 소개했다.
데이터이쿠는 2013년 공동 창업된 기업으로, 프랑스 파리에 본사를 두고 있다. 당시 극소수의 기업만이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며 발생하는 격차를 해소하고자 창업됐다. 3년 전 두산에 서비스를 공급하면서 국내 시장 공략이 시작됐으며 LG 화학·네패스 등 고객을 학보해 나가고 있다.
데이터이쿠 김종덕 한국 지사장은 “데이터이쿠의 한국 시장 공략은 단순히 솔루션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다. 각 산업별로 핵심 고객사를 확보하고 그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라며 “궁극적으로 한국의 모든 산업 분야 고객들이 AI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이 데이터이쿠의 목표”라고 밝혔다.
데이터이쿠 우재하 한국 총괄은 “한국 시장의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도 데이터이쿠의 강점이다. 고객의 다양한 IT 인프라 환경에 맞춰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온프레미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방식까지 모든 형태의 배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 환경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온프레미스 구축 지원은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행사에서는 기업들이 책임감 있는 AI를 도입하고 거버넌스 원칙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도 조명됐다. 데이터이쿠는 모든 기업들이 윤리적이고 책임있는 AI를 구현하고 싶어 하지만 단순한 도구 적용만으로 이를 실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회사마다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사업 성격이 달라 이들을 고려하는 비용,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데이터이쿠 클레망 스테낙(Clement Stenac) CTO는 “그럼에도 특정 기능, 역량, 도구들을 설정하는 일은 여전히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어떤 모델이 왜 그렇게 의사 결정을 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모델이 왜 그렇게 결정했는지를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결정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모델이 특정 여성과 남성 간에 차이를 둔다든지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데이터이쿠의 가장 큰 강점은 옵셔널리티, 즉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거대언어모델(LLM) 또는 에이전트를 살펴보면 주 단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데이터이쿠는 고객사를 그 어떤 하나의 기술로 속박하지 않고 시장의 흐름에 맞춰 빠르게 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