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데이“AI 에이전트 도입 시 조직 내 역할 설정 필수”
AI 에이전트 관리 플랫폼 출시…책임감 있는 서비스 제공 목표
[아이티데일리] “AI 에이전트가 범람하고 있는 시대지만 기업들은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기업 내 AI 에이전트의 역할 설정 부재가 문제의 원인이라 생각한다. 즉 AI 에이전트가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 것이며, 단순히 직원들을 돕는 애플리케이션인지 혹은 디지털 인력으로서 인식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22일 워크데이는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에서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5(Workday Elevate Seoul 2025)’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를 위해 방한한 워크데이 샨 무어티(Shan Moorthy) 아태지역 CTO는 아직까지 AI 에이전트 도입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워크데이는 행사를 시작하며 AI 에이전트가 범람하고 있는 현 상황을 지적했다. 이전에 챗지피티 등과 같은 거대언어모델(LLM)들이 처음 등장했을 때 기업들은 이를 도입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실제 기업의 업무에서 활용되는 영역이 제한적이었으며 보안성의 문제도 지적됐다.
회사는 이런 상황이 AI 에이전트에서도 비슷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많은 IT 기업이 AI 에이전트의 실효성을 강조하며 많은 제품을 내는 것이 물론 혁신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으나 기업들은 그들의 실효성을 잘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워크데이 샨 무어티(Shan Moorthy) 아태지역 CTO는 “기업들은 AI 에이전트를 도입하기에 앞서 어떻게 다룰 것인지 정해야 한다. 업무를 돕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접근하는 경우와 디지털 인력으로 접근하는 경우는 매우 다르다”며 “우리는 AI 에이전트가 특정 과업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역할(Role)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워크데이는 이런 상황에서 고객들을 지원하기 위해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Workday Agent System of Record)’를 출시한다. 이번에 출시된 솔루션은 AI 에이전트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관리자가 원하는 AI 에이전트를 온보딩하고 직원들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더불어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다른 만큼 타사 솔루션과의 연동성도 지원해 어느 환경에서든 자사 플랫폼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는 워크데이가 개발한 AI 에이전트는 물론 파트너사들의 제품들도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추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워크데이는 AI 에이전트 개발에 신중한다는 기조다. 아직 AI 윤리 문제나 AI 에이전트의 실효성이 명확하지는 않은 만큼 자사가 추구하는 △생산성 △감사 관련 컴플라이언스 △실행지원 등을 충족하는 경우만 개발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워크데이코리아의 정응섭 지사장은 “자사는 급격한 상황 변화에서도 신중한 기조를 가지고 서비스하려고 한다. 1년에 10개 미만의 AI 에이전트를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며 “지금까지 인적 자원(HR) 전문 기업으로서 쌓아온 능력을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책임감 있게 서비스를 공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