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브에이아이, 비전 AI 에이전트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 출시
캡셔닝 기술과 자연어 검색 기능 결합해 지능형 시스템 구축
[아이티데일리] 슈퍼브에이아이(대표 김현수)는 비전 AI(Vision AI) 에이전트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의 강점으로 △AI 기술 활용을 통한 상황 자동 식별 기능 △멀티모달 기술과 생성형 AI 기술의 결합 △장비적 제약 해소 등을 꼽았다.
먼저 AI 기술을 활용해 다수의 영상을 분석하고 자동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화재 연기 감지, 차량 인식, 얼굴 인식, 쓰러짐 및 이상 행동 감지 등 다양한 상황을 식별한다. 핵심 기술인 객체 ID 추적기능은 영상 내에서 특정 객체에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다. 시간이 지나거나 환경이 변화해도 객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나아가 객체가 가려지거나 변형돼도 동일한 객체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멀티모달 기술과 생성형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방대한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도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의 강점이다. 영상 내용을 자동으로 텍스트화하는 캡셔닝(Captioning) 기술과 자연어 검색 기능을 결합했다. VLM(Vision-Language Model)을 통해 특정 장면을 자동으로 텍스트화해 저장한다. 사용자가 ‘빨간 모자 쓴 사람 찾아줘’와 같은 일상적인 한국어 문장으로 검색하면 에이전트는 관련 영상과 시간대를 제시한다. 이는 시간, 날짜, 카메라 위치 기반의 기존 검색 방식을 넘어 영상 콘텐츠 자체를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지능형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반 CCTV나 스마트폰 촬영 영상만으로도 고급 3D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어 장비적 제약을 해소했다. 20대의 CCTV 카메라를 GPU 1대로 초당 3회 이상 분석할 수 있어 뛰어난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한다. 3D 시각화 기능으로 특정 이벤트가 일어난 장소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기존 2D 영상보다 더 직관적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기업 고객이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을 통해 비즈니스 효율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은 △물리 보안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안전 관리 △물류창고 재고 관리 △유동 인구 분석 △혼잡·밀집 구역 관리 △스마트시티 관제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할 수 있다.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은 방대한 영상 속에서 필요 장면 신속한 검색과 각 기업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모니터링, 자동 리포팅 시스템을 통해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 개선을 돕는다.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이전에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행동 패턴, 운영 트렌드, 고객 동향 등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발굴할 수 있게 한다.
슈퍼브에이아이 김현수 대표는 “기존 영상 관제 솔루션들은 고객이 원하는 객체를 정확히 탐지하는 기술이 부족해 고객 만족도가 떨어지고, 커스텀 AI를 만들기 위한 비용과 시간도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됐다”며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을 통해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산업 현장의 안전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서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 데모를 시연할 예정이다. 회사는 전문가가 컨설팅부터 데이터 설계·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운영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슈퍼브 서비스(Superb Service)’와 하나의 플랫폼에서 AI 개발 전체 사이클을 아우르는 고성능 AI 구축 플랫폼인 ‘슈퍼브 플랫폼(Superb Platform)’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구축에서 모델 배포까지 완전한 ML옵스 파이프라인을 구현한다. 최근에는 제조, 모빌리티, 물리보안, 관제 등 핵심 산업군에 집중하는 사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