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에 충격받은 인도, ‘저가·안전’ 자체 생성형 AI 모델 개발 선언
[아이티데일리] 딥시크(DeepSeek)가 오픈AI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선두 모델과 경쟁할 R1 모델을 발표한 것은, 비단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의 선두 AI 빅테크들에게만 충격을 준 것이 아니었다. 한국을 비롯한 ‘자칭’ ICT 강국들에게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누구보다도 인도가 받은 충격은 컸다. 마이크로소프트 사티아 나델라 CEO를 비롯, 미국의 상당수 빅테크 CEO를 인도계가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그럴만도 했다. 2000년대 들어와 인도는 소프트웨어 개발력을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고, 전문 인력은 중국에 버금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생성형 AI에서 한 걸음 뒤지던 인도가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미국과 중국의 거대 빅테크 산업과 경쟁하겠다는 목표라고 네이처 인디아가 전했다.
인도 정보기술부 장관 아쉬위니 바이슈나우(Ashwini Vaishnaw)는 “인도 최초의 토종 기반 생성형 AI 모델이 향후 10개월 이내에 준비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연말까지 개발하겠다는 일정을 밝힌 것이다.
바이슈나우 장관은 "우리는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고, 보안이 강화된 자체 토착 AI 모델을 출시할 준비가 되어 있다"라며 "이를 통해 인도는 생성형 AI 부문에서도 윤리적 AI 솔루션의 신뢰할 수 있는 기술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렴’과 ‘보안’을 강조한 것으로 미루어, 바이슈나우의 발언은 다분히 딥시크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개발 예정 모델은 적어도 딥시크와 경쟁할 만한 비용 효율성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전 세계가 딥시크에 대해 우려하는 ‘데이터 보안 위협’까지 해소한다면 딥시크를 압도할 수 있다. 글로벌 AI 모델은 시간당 2.50~3달러의 비용을 청구하지만, 인도의 AI 시스템은 40%의 정부 보조금까지 감안할 경우, 시간당 1.15달러 미만이 된다. 가성비 높은 대안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인도의 AI는 강력한 스타트업 생태계와 정부 정책 지원으로 일취월장하고 있다. 스탠포드 대학교의 글로벌 AI 지수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해 AI 혁신에서 4위를 차지했다. 연구 논문, 민간 투자, 특허를 기반으로 36개국의 AI 생태계를 평가한 결과다. 1~3위에는 미국, 중국, 영국이 자리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산업을 혁신할 수 있는 AI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AI 인프라를 강화하고 연구 개발에 더 많은 자금을 지원하기로 공언했다. 작년 3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의장을 맡은 인도 내각은 1037.2억 루피(1조 73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인도AI미션’을 승인했다. 이 정책은 전략적 프로그램과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강력한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우선순위에는 데이터 품질 개선, 현지 AI 자원 개발, 윤리적 AI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등이 포함됐다.
이달 초 발표된 2025년 연방 예산은 이 공약을 강화해 2000억 루피(3조 3300억 원)를 할당했다. 이는 지난해의 551억 루피에서 크게 증가한 것이며, 교육 분야에서는 3개의 AI 우수 센터 설립 기금도 조성했다. 이는 AI를 학술 기관에 통합하고, AI 연구를 강화하며, 디지털 학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는 AI 연구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AI 기술의 대규모 도입은 여전히 부진하다. 전문가들은 AI 도입을 가속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 학계, 민간 부문의 협업을 포함하는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인도 과학 연구소(Indian Institute of Science)에서 열린 AI 혁신 패널 토론에서 연설한 전자 및 정보기술부 장관 S. 크리슈난(Krishnan)은 "인도는 AI 혁신에 가장 준비가 잘 된 국가 중 하나"라면서 "투자를 늘리고 강력한 AI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AI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의 AI 개발은 고품질 데이터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 숙련된 전문가 부족,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의 부족 등 지속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강력한 정부 지원과 협력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AI 생태계는 여전히 구조적 장애에 직면해 있다. 데이터 접근성, 윤리적 위험, 규제의 모호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AI의 본격적인 구현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바이슈나우는 인도의 자생 AI 모델의 성공 여부는 혁신, 경제성, 윤리적 AI 거버넌스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