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AI 혁신 ‘딥시크’의 역설…각국 조사·규제 카드 만진다

영국, 이탈리아, 독일, 대만, 일본, 한국 등 딥시크 조사 본격 예고

2025-02-04     박재현 기자
딥시크 홈페이지 메인 화면

[아이티데일리] 생성형 AI 돌풍을 불러온 오픈AI의 챗GPT와 동일한 성능에도 10% 가격 수준임을 강조하며 세를 넓힌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역풍을 맞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R1’의 이용을 제한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보안, 국가 안보 위협, 규제 회피 의혹 등을 이유로 영국, 이탈리아, 대만, 일본을 비롯해 우리나라도 딥시크에 대한 조사와 규제 카드를 만지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 여러 국가들에서 딥시크의 R1 모델에 대한 조사와 규제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가 R1 모델의 국가안보적 영향을 조사하고 있으며, 국가사이버보안센터(NCSC)가 기술 위험성을 탐지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개인정보 사용 방식에 대한 딥시크 본사의 답변이 불충분하다는 이유에서 데이터 규제 당국이 R1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이탈리아 사용자의 신규 접근을 차단했다.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의 데이터 처리 관행에 대한 공식 조사를 시작으로 규제 조치를 검토하고 있으며, 아일랜드와 호주 규제 당국은 딥시크 본사에 데이터와 개인정보보호 관련 처리 방식을 문의하며 규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대만의 디지털부는 딥시크가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과 기타 정보보안 문제 가능성을 들며 국가 정보보안을 위협한다고 규정했다. 우리 정부 역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통해 딥시크 본사에 공식 질의서를 발송해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계획이다.

일본에서도 딥시크 규제 바람이 불고 있다.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일본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딥시크와 관련해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차원에서의 대응을 주문했다. 내각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각 정부 부처에 딥시크 사용에 대한 주의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가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의 텍사스 주정부는 딥시크를 비롯해 중국의 몇몇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금지 명령을 내렸고, 미 해군은 딥시크 R1 모델의 근원과 사용에 관해 보안 우려를 이유로 들며 해군 장병 전체에게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뿐만 아니라 미국 의회, 항국우주국(NASA)에서도 딥시크의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또한 복수의 외신들에 따르면 미 당국은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GPU 칩을 우회로 사용한 방법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미 당국은 △싱가포르 중개업체를 활용한 엔비디아 칩 구매 △대중국 수출 규제 우회를 위한 제3국 경유 등에 주안점을 두고 백악관과 FBI가 반도체 구매 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각국이 딥시크를 겨냥해 규제에 돌입한 핵심 이유로는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유출’ 등을 꼽고 있다. 실제로 딥시크는 100만 건 이상의 민감한 데이터가 담긴 데이터베이스(DB)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 기록을 갖고 있다. 민감한 데이터에는 개인정보는 물론 사용자의 채팅 기록, API 인증 키, 시스템 로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는 의혹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유출 사고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진 것이다. 이로 인해 각국에서는 딥시크를 비롯한 AI 기업들의 데이터 관리와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엄격한 감독과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 SW 관계자는 “딥시크가 챗GPT와 대등한 성능임에도 저렴하다는 점을 앞세워 혁신 AI 모델인 것처럼 확산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딥시크 혁신성 이면에는 AI에서 가장 중요한 보안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미 우리나라 기업부터 일반 이용자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의 보안 규제 움직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