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NASA·미 해군 등 딥시크 금지, 견제 본격화…두 번째 틱톡 사태 비화 가능성

2025-02-03     조민수 기자
이미지=로이터

[아이티데일리]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R1이 미국에서 오픈AI의 챗GPT를 제치고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무료 앱으로 부상했다. 한국에서도 딥시크는 지난 1월 설 연휴 이틀(27~28일) 동안 20만 건 이상 다운로드되면서 일약 선두권으로 부상했다.

갑작스러운 딥시크의 부상에 미국이 가장 먼저 견제하고 나섰다. CNBC에 따르면 미 나사(NASA)와 해군이 딥시크 사용 중지 조치를 취했다. 주정부에서는 텍사스주가 뒤를 이었다. 대만과 이탈리아 정부도 금지 조치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로이터통신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긴급 회동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딥시크에 대한 대응책과 함께 중국에 대한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논의했다고 한다.

이들 매체들은 딥시크가 빠른 속도로 틱톡(TikTok)의 전철을 밟기 시작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미국의 신속한 조치에 불을 댕긴 것은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대해 정부와 회사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요구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미국의 안보 전문가들은 긴장하고 있다.

미국의 사이버 보안 회사들은 이미 딥시크 앱의 취약점을 발견, 데이터 유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드며, 국가 안보 전문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은 "아무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국가 안보 위원회의 안보 고문을 지낸 맷 펄의 발언이다. 펄에 따르면 키 입력 패턴을 통해 딥시크 사용자는 모든 기기에서 추적될 수 있으며 중국 정부에서도 가능하다.

미-중 기술 전쟁의 와중에 나사에서 미 해군, 대만 정부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관이 불과 1주일 만에 딥시크 사용을 막고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나아가 수백만 미국인이 딥시크를 사용하는 것을 불허해야 한다고 경종을 울리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론자들도 딥시크의 개발 속도와 성능, 가격을 떠나 미국인들이 스스로와 개인정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전략을 컨설팅하는 위험관리 회사 롱뷰클로벌은 “중국의 악의적인 행위자들이 딥시크에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정보의 양은 구글 검색에서 수집할 수 있는 것보다 20배나 더 많다”고 밝혔다. 개인들의 은행 또는 건강 정보가 도난당할 위험이 있으며, 딥시크의 취약점도 예외는 아니라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성격상 딥시크의 부상을 방관하지 않을 것임은 분명하다. 예상되는 1차 조치로는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금수 조치의 확대다. 성능의 고하를 막론하고 중국에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반도체 칩 전반에 대한 수출 규제가 머지않은 시일 내에 실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맹국에 대한 대중 반도체 칩 수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도 있다. 현실화되면 반도체 강국인 한국이 그 사정권에 들 수 있다. CNBC의 보도는 중국 정보부가 딥시크의 광범위한 쿼리 패턴을 사용해 미국 산업에 대해 다각도로 알아내고 대중 사이에 분열을 조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CNN 등 유력 매체들은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고 진단한다. 온라인 분석 플랫폼 샘러시에 따르면 딥시크는 이용자 활동에서 챗GPT에 크게 뒤처져 있다. 오픈AI 앱은 수천만 명의 평균 일일 방문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챗GPT 트래픽은 최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셈러시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0월에는 일 방문자가 2210만 명이었지만 지난달 19일에는 1490만 명으로 줄었다. 반면 딥시크 방문자는 지난 10월 1일 미국 내에서 일평균 2300명에 불과했지만 엔비디아 주식이 폭락하기 1주일 전인 19일에는 7만 1200명으로 늘었다.

딥시크가 활용하는 오픈소스 기술 접근 ​​방식은 제2, 제2의 딥시크가 등장할 것임을 예고한다. 생성형 AI 시장이 지금보다 혼란해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렇게 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더 강력한 2차 조치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틱톡 금지 및 매각 조치와 유사한 금지 조치가 행정명령으로 시행될 수 있다. 틱톡에 대한 금지 조치는 연방 대법원에서도 인용했기 때문에 딥시크에 대한 조치도 충분히 강행할 수 있다. 생성형 AI 모델을 상품으로 내건 미국의 빅테크들이 가장 원하는 해결책이기도 하다.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강경 일변도 정책과 AI 산업계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딥시크 제재 조치가 당겨질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