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공공사업] 3,309억 ‘대전본원·광주센터 ’25년 운영·유지관리’ 사업
대전·광주본원 및 입주기관 정보시스템, G-클라우드, DR 등 운영 및 유지관리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총 3,309억 원 규모로 대전본원과 광주센터 2곳의 ‘2025년 운영·유지관리’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을 통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국가 정보시스템의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고 관리원 정보시스템의 유지관리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이번 2025년 운영·유지관리 사업은 ‘2025년 대전본원 정보시스템1군 운영·유지관리(1,256억 원)’, ‘2025년 대전본원 정보시스템2군 운영·유지관리(594억 원)’, ‘2025년 광주센터 정보시스템1군 운영·유지관리(923억 원)’, ‘2025년 광주센터 정보시스템2군 운영·유지관리(536억 원)’ 등 4개로 구분됐고, 개별 사업으로 발주된다.
4가지 사업 모두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진행된다. 계약은 일반경쟁입찰로 진행되며, 우선협상대상자는 기술평가(90%), 가격평가(10%)를 종합해 선정된다.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48조 제4항에 따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아울러 단독 혹은 공동수급(공동이행방식)이 가능한 사업으로 분류됐다.
먼저 1,256억 원 규모로 발주되는 2025년 대전본원 정보시스템1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은 △HW, SW,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관리원 대전본원 및 입주기관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G-클라우드 운영·유지관리 및 개선 △관리원 서비스데스크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개별 스토리지, 백업, 타 센터 소재 재해복구(DR)시스템 운영 △대전본원 소관 네트워크·보안장비·서버 등 HW 및 SW 운영·유지관리 △국가정보통신망 및 국가융합망 소관 HW 및 SW 운영·유지관리 △사이버안전과 소관 인공지능 보안관제 시스템 운영·유지관리 △대전본원 공개SW 웹방화벽(ModSecurity) 유지관리 △대전본원 공무원 인터넷PC 운영시스템(DaaS) 보안 솔루션 유지관리 등을 추진해야 한다.
2025년 대전본원 정보시스템1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의 유지관리 대상 시스템은 총 36,745개(HW 7,672개, SW 29,073개)이며, 운영대상 시스템은 총 60,236개(HW 15,049개, SW 45,187개)다.
다음으로 594억 원 규모로 추진되는 대전본원 정보시스템2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은 대전본원 정보시스템 1군 HW 및 SW 분야 유지관리를 제외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및 입주기관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부처 개별 클라우드 영역 및 개별 스토리지‧백업 시스템 운영·유지관리 △통합 스토리지 및 백업‧소산, 타 센터 소재 DR 운영 △대전본원 전기설비 및 전산실 상면, 출입관리시스템 운영·유지관리 △대전본원 기반시설 전문장비 유지관리 △대전본원 및 광주센터 전력관리시스템 운영·유지관리 △4개 센터 범용 시스템(통합전력관리, 방문자관리, 영상회의 등) 운영·유지관리 △관리원(전체센터) 내 정보시스템(클라우드 포함) 구조진단 및 문제관리 △행정·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정보시스템 기술지원 및 장애지원 등을 수행해야 한다.
대전본원 정보시스템2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의 유지관리 대상 시스템은 총 18,301개(HW 3,466개, SW 18,301개)이며, 운영 대상 시스템은 총 32,142개(HW 6,507개, SW 25,635개)다.
세 번째로 923억 원의 예산이 배정된 2025년 광주센터 정보시스템1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은 ▲관리원 광주센터 및 입주기관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G-클라우드 자원풀 운영‧유지관리 및 개선 ▲광주센터 주시스템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본원 등) 소재 재해복구시스템(DR)의 운영 및 유지관리 ▲정보자산 주기에 따른 데이터 현행화 및 효율적인 상면관리 위한 총괄 관리 기능 업무 ▲광주센터 소관 기관 및 센터 보안장비(방화벽, 웹방화벽, IDS, IPS 및 nTEMS, 서버보안 등 SW포함)의 운영·유지관리 ▲광주센터 기관 및 센터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NMS, IP관리 등 SW포함)의 운영·유지관리 ▲대전본원 소재 광주센터 주시스템과 연계된 DR 시스템 보안장비, 네트워크 장비의 운영지원 및 유지관리 ▲인터넷 카페 PC 및 부대시설 유지관리(음향장비, 상황판 등)등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광주센터 정보시스템1군 사업의 유지관리 대상 시스템은 총 34,696개(HW 8,180개, SW 26,516개)이며, 운영 대상 시스템은 총 35,875개(HW 9,276개, SW 26,599개)다.
마지막으로 536억 원 규모로 진행되는 2025년 광주센터 정보시스템2군 운영·유지관리 사업은 ▲관리원 광주센터 및 입주기관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광주센터 주시스템과 연계된 국가정보자원관리원(본원 등)에 소재한 DR 운영 및 유지관리 ▲정보자산 주기에 따른 데이터 현행화 및 효율적인 상면 관리 위한 총괄 관리 기능 업무 등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에는 랙 탑재율 제고, 랙(재)배치, 상면 최적화(상면이동) 등의 상면 효율화 업무 등부터, 신규 도입 및 운영·유지관리 정보자산의 변경 정보에 대한 데이터 현행화까지 포함된다.
중견 SI 기업 관계자는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사업에 상호출자제한기업을 제외하면, 아이티센을 비롯해 대신정보통신, 대보정보통신, 세림티에스지, 메타넷 등 대부분의 중견 SI 기업들이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행정망 사태로 인해 자원관리원의 IT 운영에 대한 신뢰성이 하락한 상황이다. 이번 사업을 수주한 기업은 발주처를 비롯해 국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것이다. 이달 말께부터 사업이 본격 발주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운영·유지관리 사업 수주전에 기업을 비롯해 여러 기관의 많은 관심이 쏠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