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략·솔루션 돋보기 ㉜] KTNF
“AI 워크로드 처리 할 수 있는 강력한 서버 구현으로 경쟁 우위 확보할 것”
[아이티데일리]
대한민국 대표 국산 기술로 서버 시장 선도하는 KTNF
KTNF는 (Korea Technology aNd Future)는 사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한민국의 기술로 대한민국의 IT 생태계를 이끌겠다는 사명감을 갖고 2002년 설립해 23년간 서버연구와 개발을 하고 있다. 20여 년간 국내 대표적인 보안업체들에 어플라이언스 서버를 공급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 ‘데이터센터 x86서버 개발 사업’ 주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x86 제너럴서버(KR580 & KR570 시리즈)를 연구개발 생산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SMB & 금융 파이낸스 고객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다양한 서버 및 스토리지 제품 라인업 보유
KTNF는 다양한 서버 및 스토리지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성능 컴퓨팅에 최적화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력 제품군은 크게 고성능 서버, 스토리지 솔루션, GPU 기반 서버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제품은 데이터 처리 성능, 에너지 효율성, 소형화 등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춰 개발되고 있다.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 고성능 서버(Enterprise Server) : KTNF의 고성능 서버는 주로 대형 데이터 센터와 기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안정성과 고성능을 제공한다. 최신 프로세서와 메모리 기술을 사용해 연산 능력과 효율성을 극대화했으며, 특히 공공기관과 금융권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높은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서버들은 고가용성과 안정성이 필요한 미션 크리티컬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 스토리지 솔루션(Storage Solutions) : KTNF는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제품군도 제공하고 있다. 이 스토리지 솔루션은 대규모 데이터 관리를 위해 설계됐으며, 데이터 중복 제거, 압축, 암호화 기능 등을 통해 데이터 보안과 저장 효율성을 높였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 분석, 백업 및 복구, 재해 복구 환경에 최적화된 스토리지 시스템이 포함된다.
· GPU 기반 서버(GPU Server) : 최근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KTNF는 GPU 기반 서버를 통해 고성능 연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 서버는 병렬 처리 성능이 뛰어난 GPU를 탑재해 AI 모델 트레이닝, 딥러닝 작업에 최적화돼 있다. 특히, AI 연구소나 데이터 과학팀에서 머신러닝 모델 훈련과 추론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 엣지 컴퓨팅 서버(Edge Computing Server) : KTNF는 5G 및 IoT와 연계된 엣지 컴퓨팅 솔루션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저지연 성능을 제공하는 소형 서버 제품군을 개발하고 있다. 엣지 서버는 제조업, 스마트 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중앙 데이터 센터 없이도 현장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클라우드 인프라 솔루션(Cloud Infrastructure Solutions) :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수요가 늘어나면서, KTNF는 프라이빗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맞는 서버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대규모 가상화와 확장성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하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됐다.
· 데스크톱 서버 및 타워 서버 : 중소규모 비즈니스나 연구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타워형 및 데스크톱 서버도 제공한다. 이 제품군은 소규모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기본적인 서버 기능을 충족하는 데 유리하며, 성능 대비 효율성을 높인 구성이 특징이다.
인터뷰
“DPU & NPU 국내 기술업체들과 협업 통해 AI 시장 공략하겠다”
KTNF 이중연 대표
Q. KTNF만의 동종업계 대비 주요 특징과 차별화된 강점은.
현재 서버시장은 구매 파워(Buying Power)를 앞세운 외산밴더 제품과, 외산제품 특히 값싼 중국산 부품으로 국내에서 조립해 직접생산확인증명서를 받고 국산서버로 명명된 서버업체들과 경쟁을 하고 있다. KTNF는 이런 시장상황에서 국내 유일하게 메인보드부터 서버 완제품까지 서버의 시작부터 끝까지 모든 영역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순수 국산 서버 제조사다. 특히 전체 인력의 40% 가 전문 엔지니어로 구성이 돼 있어, 서버장애 발생시 1,2차 기술지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발생된 장애를 연구개발본부와 품질본부를 통해 원인 분석, 제품 고도화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Q. AI 기술과 관련해 현재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면.
AI서버 시장 규모는 2024년부터 2032년 사이에 18%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AI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됨에 따라, 각 기업들의 경우 의사결정, 자동화, 효율성 향상을 위해 AI를 활용함에 있어 AI 워크로드를 처리 할 수 있는 강력한 서버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KTNF는 자체 연구소와 제조혁신본부를 중심으로 최적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해 기업은 운영 간소화와 하고 혁신을 추진하며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제품 개발에 정진하고 있다.
Q. 앞으로 AI가 KTNF의 핵심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나.
2022년 하반기부터 ‘쳇 GPT’가 몰고온 ‘생성형 AI’의 거대한 파도가 IT인프라 시장을 덮쳤다. 국내서버 시장의 경우, 클라우드의 성장동력에서 생성형 AI시장으로 판도가 바뀌어 가고 있으며, 급속히 성장하는 상황으로의 변화가 일어난 상황이다. 글로벌마켓인사이트 시장조사 업체에 따르면 2023년 AI서버 시장의 규모는 약 50조 3,000억 원이었으며, 올해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18% 이상의 AI서버 시장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AI서버의 출하량 자체가 지난해 118만3천대, 올해 165만2천대, 내년 189만대, 내후년 236만대로 계속 늘어날 전망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 우리 KTNF 또한 기존 보안어플라이언스와 x86제너럴 서버에서 점차 AI서버 제품으로 핵심 사업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Q. 글로벌 AI 시장에서 KTNF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은.
일찍이 KTNF는 창립 초기부터 본사 R&D 센터를 통해 기술역량에 집중을 하고 있으며, 2017년 대만에 R&D 센터를 설립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또 KTNF가 가지고 있는 23년간의 서버 기술역량과,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워크로드 성능을 개선해 서버 효율을 극대화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DPU & NPU 국내 기술업체들과 협업을 통한 AI시장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Q. AI 기술과 연관된 R&D 투자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앞에서 언급 했듯이, 전체 직원의 40%가 전문 엔지니어로 구성돼 있으며, 이 인력과 더불어 대만R&D 센터의 직원들이 AI기술과 관련된 서버 개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다 하고 있다. 이미 최신 GPU를 탑재하는 AI 서버가 출시돼 있으며 CPU와 GPU의 신제품 출시에 맞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연구개발시 항상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기술의 트렌드와 시장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준비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Q. AI 시대 KTNF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이 있다면.
행정안정부 “2023년도 행정 및 공공기관의 정보자원 현황통계 보고서” 공공부문의 하드웨어 유형별 국산화 현황에 의하면 국산서버 28.15%, 외산서버 71.85%로 앞도적으로 뒤처지고 있다. 외산서버 비율이 국산서버보다 높게 보이고 있으며, 그나마 28.15% 비율의 국산서버 조차도 외산서버를 베이스로한 서버로서, 순수 국내기술의 국산서버의 도입이 저조한 상황이다.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AI서버 시장에서 순수 국산 AI서버가 확대될 수 있는 제도권의 정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